철학적 탐구 비트겐슈타인 선집 4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 지음, 이영철 옮김 / 책세상 / 2006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철학계의 슈퍼스타라고 볼 수 있는 비트겐슈타인은 ‘논리 철학 논고’를 통해서 갑작스럽게 등장했다 순식간에 사라져버리고 다시금 나타나서 무언가를 모색한 뒤 사후에 발표한 ‘철학적 탐구’를 통해서 자신이 기존에 발표했던 의견을 뒤집으며 더욱 의문으로 가득한 인물이 되어버린 말 그대로 전설속의 존재이다... 라고 사람들은 평가한다.

 

말할 수 있는 것에 대해서만 말하고,

말할 수 없는 것에 대해서는 침묵하라.

 

이런 명제를 갖고 있는 기존의 입장을 번복해서 얼마나 하나의 말이 다양한 방식으로 해석되고 오해되는지를 집요하게 탐구하고 있는 ‘철학적 탐구’는 그의 ‘논리 철학 논고’를 읽지 않았기 때문에 어떤 변화를 보이고 있는지를 자세하게 말할 수 없기 때문에 제대로 읽어냈다고 말할 수 없을 것이고, 둘 다 읽었다고 해도 제대로 이해가 되지도 않고 무엇을 말하려고 하는지 이해가 쉽게 되지 않기 때문에 그저 건성으로 읽었다는 말만 나오는 난해하기만 한 내용인 것 같다.

 

비트겐슈타인은 ‘철학적 탐구’를 통해서 우리가 사용하는 언어와 그 언어를 전달하는 방식인 문법(혹은 언어 놀이 / 규칙)에 대해서 집요할 정로도 파고들고 있다. 무언가에 대해서 결국은 언어 혹은 문자를 통해서 전달할 수 밖에 없고 이를 통해서 전달하는 과정은 그 전달하는 방식과 흐름(과정)으로 인해서 오해되고 왜곡될 수 밖에 없다는 것을 비트겐슈타인은 반복해서 지적하고 있다. 또한 우리가 당연스럽게 받아들이고 있고 이해되고 있는 것이 얼마나 오해 속에서 혹은 암묵적인 합의 속에서 구성되고 있는지를 언급하고 있다.

 

그리고 그 오해 / 왜곡으로 인해서 우리는 무언가를 정확하게 말할 수도, 표현할 수도, 전달할 수도 없는 것이고 확실성과 거리를 갖을 수 밖에 없다는 것을 지적하고 있다. 게다가 언어만이 아닌 사회적인 규칙과 각 사회의 그리고 문화의 차이까지 더해지면서 우리가 말하는 것들이 얼마나 오해되며, 암묵적으로 이해되고 받아들여지는지를 파악하고 있다.

 

어떻게 본다면 말할 수 없는 것에 대해서 왜 침묵을 해야 하는지를 주장하는 것이 아니라 어떻게 말하게 되어지고 있는지를 분석하고 있다고 볼 수 있고, 수학적인 방식으로 무언가를 전달할 수 없기 때문에 진실 / 사실과 어쩔 수 없이 거리를 갖을 수 밖에 없고 이런 거리감을 경험과 앎의 실천으로 인해서 해결 가능한지에 대해서 고민하고 있다.

 

뚜렷한 결론을 찾기 보다는 말 그대로 논리학과 언어 그리고 문법과 관련된 다양한 탐구를 하고 있을 뿐인 비트겐슈타인의 ‘철학적 탐구’는 위와 같이 읽은 것을 정리하면서도 제대로 읽어냈는지 의문스럽기만 한 난해함으로 이뤄져 있고, 무엇을 읽었는지 자신 없이 얘기하게 될 뿐이다.

 

읽은 다음에 무언가를 얘기하고 싶고,

어떠한 것들과 연결시켜보려고 하고 싶지만...

이번은 그저 침묵하고 읽은 것을 다시금 생각해보기만을 하게 되는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