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혜 브라운 신부 전집 2
G. K. 체스터튼 지음, 봉명화 옮김 / 북하우스 / 200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체스터튼의 브라운 신부 전집 2권 ‘지혜’는 내용에서는 브라운 신부의 지혜와 통찰력 그리고 빼어난 관찰력을 통해서 해결되지 않던 혹은 해결되기 어려운 사건들이 해결되는 과정을 담아내고 있다는 점에서 1권과 큰 차이는 없으니 브라운 신부의 팬들이라면 그리고 조금이라도 차이를 찾아내려는 예민한 독자들이라면 1권에 비해서 브라운 신부 개인의 심리 상태나 독백 혹은 혼잣말 등을 통해서 브라운 신부의 속마음을 조금은 독자들이 알 수 있게 내용을 진행시키고 있고, 그의 동료이자 조수와 같은 플랑보가 들쭉날쭉하게 등장하고 있기는 하지만 여전히 그와 함께하면서 생각지도 않은 모험을 혹은 지적 유희를 즐기고 있다.

 

1권에서는 역설 혹은 아이러니를 통해서 독자들에게 즐거움을 안겨주고 있었다면, 2권에서는 브라운 신부의 비평적 관찰이 여전히 부각되고 있기는 하지만 등장인물들의 개인적 감정(사랑, 복수 야망 등등)이 보다 적극적으로 드러나고 있다. 독특한 범죄 혹은 범죄에 대한 브라운 신부 개인의 언급에서 벗어나 그 범죄에 참여하고(되고) 있는 인물들의 심리 상태나 심리적 갈등에 관심을 보이기 시작한다고 해야 할까?

 

이로 인해서 브라운 신부는 보다 냉소적으로 작품에서 일어나고 있는 사건들에 반응하게 되기도 하고, 보다 감정적으로 반응을 하게 되는 등 차갑고 건조한 느낌의 작품에 조금은 감정이 채워지기 시작한다.

 

여전히 싸늘한 유머 혹은 냉소가 작품의 곳곳에 새겨져 있으며, 그 당시에 활발한 논의가 이뤄지고 있는 여러 쟁점(거짓말 탐지기나 드레퓌스 대위와 관련된 스캔들 등)들에 대한 (브라운 신부와 플랑보의 입을 통한) 체스터튼의 생각들을 엿볼 수 있기도 하다.

 

1권에 비해서 보다 작품의 재미가 더해졌다는 생각이 들기도 하고, 개개인의 심리적 변화에 대한 브라운 신부의 언급들로 인해서 사람들에 대한 심리의 변화에 대해서 보다 관심을 갖게 되기도 했다.

 

역시나... 무기력한 기분이 들 때에는 이런 범죄 소설을 읽는 것이 조금은 활력을 찾게 만들어주는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