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야생의 사고 ㅣ 한길그레이트북스 7
레비 스트로스 지음, 안정남 옮김 / 한길사 / 1996년 4월
평점 :
구입한지 오래된 책이고,
레비-스트로스가 세상을 떠난 소식을 접하고 더 이상 묵혀두기만 하면 안 될 것 같다는 생각을 했음에도 이제야 읽게 될 정도로 손이 가지 않는 책이었고, 어렵사리 읽으면서도 쉽게 읽혀지는 부분이 없고 이해시키려고 하기 보다는 혼란스럽게 만드는 것에 목표를 두고 있다고 착각할 정도로 난해한 내용에 힘겹기만 하다는 생각이 들게 되었다.
다 읽기는 했어도 도대체 뭘 읽었는지 한숨만 나오기만 했고,
읽은 것에 대해서 말하기 보다는 그냥 읽었다는 것만 말하고 싶어지는 내용이었다.
그처럼 난해하기로 악명 높은 ‘야생의 사고’는 우리가 당연스럽게 생각하고 있는 미개인들의 사고와 문명인들의 사고간의 확연한 차이가 생각 이상으로 모호하고 근접해 있으며 그 사고의 차이를 (언어학적으로) 뜯어보면 비슷한 구조로 되어 있지만 (언어학적으로) 다른 방식으로 풀어내고 있을 뿐이라는 것에 대해서 집요하게 파고들고 있는 저작이다.
이런 생각에 대한 강한 설득력을 갖기 위해서 그는 미개인과 문명인의 사고 구조의 유사성을 확인시켜주기 위한 근거로 무언가를 항상 ‘분류’하고 ‘구분’함으로써 ‘체계’를 갖추도록 하려는 사고 구조의 유사성을 내세우고 있다. 그리고 그는 이를 위해서 ‘신화’를 그리고 ‘토테미즘’을 분석하여 문명인의 사고와의 유사성을 알리려 하고 있다.
야생의 사고는 그저 주어진 환경과 조건 속에서 무언가를 구성시키려고 하는 사고일 뿐이고 문명인이라 불리는 이들의 사고 구조는 보다 환경 자체를 구성하려고 하는 사고의 차이일 뿐이지 그 구조 자체는 엇비슷하다는 입장에서 그는 자신의 생각을 독자들에게 전달하고 있고, 그 전달 방식과 내용이 지나치게 난해하고 쉽사리 이해하기 어렵게 전달하고 있기는 하지만 대충 그런 입장인 것 같기는 한 것 같다.
그는 이와 같은 생각을 전달하기 위해서 미개인이 갖고 있는 ‘신화’와 ‘토테미즘’을 중심으로 자신의 생각을 정리하고 있고, 이를 통해서 하나의 사고 구조와 체계가 어떻게 성립하고 있고 변환되고 있는지 그리고 문명인의 사고가 얼마나 이와 유사한 사고 구조를 갖고 있는지 지속적으로 언급하고 있다.
그리고 말미에 그는 당시에 누구도 도전하기를 꺼리던 사르트르의 입장에 대해서 비판하고 반박하며 그가 갖고 있는 생각을 뛰어 넘어 야생의 사고를 다시금 받아들여야 한다는 결론을 내리고 있다.
어떤 의미에서는 기존의 우월한 지위를 누리던 서구의 그리고 문명인의 사고 구조에 대한 통렬한 반박이기도 하고, 보다 넓게 생각한다면 보다 발전된 사회를 살아가는 사람들이 갖고 있던 우월 의식에 대한 비판이기도 할 수 있는 ‘야생의 사고’는 그런 생각을 갖게 되기에는 지나칠 정도로 어렵고 난해한 그리고 모호함이 느껴지는 저작이기는 하지만 미개인 그리고 문명인의 사고 구조가 갖고 있는 분류와 구분에 대한 집착이 보여주는 방식에 대해서 보다 다양한 생각을 해보도록 만들게 되는 것 같다.
인류학과 역사학 혹은 사회학적인 시각으로 읽을 수도 있겠지만 좀 더 다른 방식의 읽기도 가능할 것 같은 저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