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리 포터, 청바지를 입은 마법사 - 현실은 어떻게 마법을 불러내는가?
앤드류 블레이크 지음, 이택광 옮김 / 이후 / 2002년 11월
평점 :
품절


한 때 ‘해리 포터’ 시리즈를 열심히 읽었던 적이 있었다.

‘불의 잔’ 까지는 단숨에 읽어나갔는데, 이후 작품들이 한동안 출판이 되지 않아서 조금씩 잊게 되었고, 그렇게 잊게 되는 동안 관심을 갖는 분야가 많이 달라져서 여전히 화제를 모으며 출판되고 다양한 관련 상품들이 제작되었지만 무관심하게 소식을 접하기만 했을 뿐이었다.

 

그렇게 쉽게 잊게 되기는 했지만 ‘해리 포터’는 분명 예상을 넘어선 인기를 얻은 아동 문학이었고, 단순히 아동 문학이라고 말하는 것으로 논의를 정리하기에는 작품의 파급력이 막대했고, 인상적이었다.

 

‘해리 포터 청바지를 입은 마법사’는 이렇게 생각 이상의 어마어마한 성공을 거둔 ‘해리 포터’ 시리즈에 대한 사회 / 문화적 분석이며 단순히 문학 평론과 같은 분석이 아닌 하나의 사회를 그리고 시대를 바라보려고 노력하고 있는 작품이다.

 

저자인 앤드류 블레이크는 ‘해리 포터’ 시리즈의 성공 요인으로 ‘역혁명’이라는 개념을 통해서 분석하고 있는데, 이는 단순히 과거와 단절하며 나아가는 것이 아니라 과거를 새롭게 계승하는 방식을 통해서 전진하는 의미로서 다루고 있고, 이런 접근방식이 ‘해리 포터’만이 아니라 사회와 문화 그리고 정치적으로 다양한 방식으로 '해리 포터‘가 발표된 시기와 비슷하게 영국에서 다양한 분야를 통해 나타나게 되었다고 논의하고 있다.

 

이런 사회적이고 문화, 정치적인 분석과 함께 점점 감소하고 있는 독서 시간과 부족해지고 있는 글쓰기 능력이 ‘해리 포터’를 통해서 아이들이 이전과 달리 지루함을 느끼지 않으며 관심을 갖게 되어가고 있고, 이를 통해서 ‘해리 포터’를 폄하하는 이들에게 이 작품이 담아내고 있는 다양한 문제의식과 이로 인해서 만들어지는 긍정성에 대해서 알려주며 ‘해리 포터’를 옹호하기도 하고, 영국 내부적으로 이 작품이 하나의 새로운 공동체 의식을 만들어낼 수 있는 실마리를 제공하고 있기도 하다는 의견을 제시하기도 한다.

 

헤르미온느를 통해서 여성에 대한 위상이 변하였지만 이는 새로운 가부장적 질서에 불과하다는 의견을 내놓기도 하고, 인종적 문화적 다양성이 보여주는 것에 호감을 보이기도 하는 등 ‘해리 포터’ 시리즈에 담긴 다양한 논의들에 관심을 보이고 있고, 의미들을 언급하려고 하고 있다.

 

물론, 이런 긍정적인 성격과 함께 ‘해리 포터’를 통해서 만들어지고 파생되는 다양한 상품들과 함께 그 상품들을 그저 소비하기만 할 뿐인 대중들의 모습에 실망스럽게 반응하기도 하고, 이런 소비만을 위해 존재하는 대중들의 모습에서 더 이상 아동과 성인의 구분이 모호해지기만 하고 그들의 성숙해질 의도가 없어하는 모습에 비관적인 결론을 내리기도 한다.

 

‘해리 포터’라는 하나의 문학 작품을 통해서 시대와 사회에 대해서 다양한 논의를 제시하고 있고, 생각하지 못한 분석을 보여주기도 하고 있는 ‘해리 포터 청바지를 입은 마법사’는 다양한 분석과 논의로 인해서 관심을 갖게 되지만 그 분석과 논의를 보다 심화시키거나 집중력이 있게 파고들지는 못하고 있어서 약간은 아쉬움이 남기도 하는 작품이다.

 

하나의 언급에서 그치고 있다는 아쉬움이라고 해야 할까?

 

보다 자신의 논의를 진전시켰으면 하는 아쉬움이 들기는 했지만 어떻게 바라보아야 하고 어떤 방식으로 바라볼 수 있을지에 대해서 알려주는 것으로도 충분히 인상적인 내용이었다.

 

지나치게 유치한 느낌이 드는 제목만 어떻게 했다면... 더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가질 수 있었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