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캉과 현대철학
홍준기 지음 / 문학과지성사 / 1999년 8월
평점 :
품절


다양한 분야에서 라깡을 인용하고 있고,

그의 논의를 소개하고,

그에 대한 전문 연구자들이 등장하고,

그 연구자들이 많은 글들을 발표하고,

그 글들이 하나의 흐름을 만들어 놓고 있지만,

 

국내 연구자들이 발표한 글들의 대부분은 아무리 열심히 읽어봐도 도통 이해가 되지 않거나(혹은 못하거나), 라깡의 전반적인 논의에 대한 자신의 입장을 조금이라도 설명한 다음에 자신의 생각을 전달하기 보다는 라깡의 부분적인 입장(이론)을 갖고 자신의 생각을 밀어붙이고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라깡은 항상 이해되지 못하게 되거나,

부분적으로만 다뤄지게 되는 것 같다.

당연히 그렇기 때문에 난해하게만 느껴지게 되는 것이고, 이런 문제점이 점점 해결되기 보다는 더욱 문제가 확대되는 것 같다는 생각을 하게 되는데, 아마도 라깡의 저서가 제대로 번역되지 않고 있기 때문인 것 같고, 그의 국내 연구자들 사이에 라깡과 관련된 용어와 논의들이 최소한의 합의도 없이 각자 따로 놀고 있기 때문인 것 같기도 하다.

그가 국내에 알려진지 얼마 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런 문제가 발생하는 것일 수도 있지만, 체계적이거나 충분한 논의가 이뤄지기 보다는 각자 자기만의 방식으로 그의 이론을 받아들이고 있기 때문인 것 같다.

 

사람들에 따라서는 입장이 다르겠지만 그래도 국내에서 활동하고 있는 라깡과 관련된 연구자들 중에서 가장 체계적으로(그리고 열심히) 라깡을 소개하고 있고, 그의 이론적인 부분과 함께 임상적인 부분과 관련되어서도 많이 소개를 해주고 있는 홍준기의 활동은 그렇기 때문에 인상적인 것 같다.

 

그리고 그의 초기 저작 중 하나인 ‘라캉과 현대 철학’은 라캉의 이론을 ‘주체’에 중점을 두며 다양한 철학자들의 논의와 연결하여 폭넓은 해석을 보여주고 있고, 각각의 입장들이 갖고 있는 한계를 라깡의 논의를 통해서 극복하려고 하고 있다. 그리고 사람들이 어떻게 라깡을 오해하고 있는지에 대해서도 얘기를 하고 있다.

 

홍준기는 라깡이 어째서 ‘프로이트로의 복귀’를 주장하게 되었는지,

그리고 프로이트의 논의를 라깡이 어떤 방식으로 이해하고 있는지를 설명해주고 있고,

하버마스와 후설의 논의를 중심으로 현대철학이 갖고 있는 한계와 함께 정신분석학이(그리고 라깡의 논의가) 어떻게 그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 논의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알튀세르가 어떻게 라깡의 논의를 철학적 / 정치적으로 해석하였고, 라깡의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에 대한 입장을 통해서 어떻게 (근대) 주체가 생성되는지에 대해서 논의를 하고 있다.

 

과연 주체란 어떤 존재인가?

 

라는 해묵은 논쟁을 그리고 지겨운 논의를 홍준기는 라깡을 통해서 다시금 꺼내들었고, 해묵고 지겹게 느껴지겠지만 여전히 가장 핵심적인 논의인 것 같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그리고 그의 의견이 정답일지 아닐지는 모르겠지만 여러모로 관심을 끌게 만든다.

 

라깡의 논의를 되도록 쉽게 설명하려고 노력하고 있기는 하지만 여전히 난해하고 다가가기 어려웠다. 그래도 관심을 잃게 되지는 않는 것 같다. 이렇게 여전히 그와 관련된 책들을 뒤적거리고 있는 것을 보면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