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주의 이후 당대총서 7
이매뉴얼 월러스틴 지음, 강문구 옮김 / 당대 / 1996년 8월
평점 :
품절


1989년에 일어난 공산주의(또는 현실 사회주의) 정권의 도미노 식 붕괴 혹은 자본주의 체제에 대한 전면적인 투항은 하나의 사건을 넘어서 그동안 세상을 휩쓸었던 맑스(마르크스)와 레닌주의의 폐기와 사회주의와 공산주의에 대한 부정으로 이어졌다.

 

그리고 이러한 일련의 흐름을 ‘자유주의의 승리’로 요약하고,

이로 인하여 자본주의와 자유주의의 세계가 영원이 이어질 것이라는 얼치기 헤겔주의가 주류를 이루었었다. 하지만... 공산주의 붕괴 이후의 상황을 알고 있는 우리로서는 위와 같은 전망이 얼마나 낙관적이고 한심한지 잘 알고 있다.

세상은 더 혼란스러워졌고, 어두워졌다.

 

뒤늦게 읽은 월러스틴의 ‘자유주의 이후’는 이런 당시의 시대적 분위기와 흐름에 대해서 적절한 비판을 하고 있고, 자유주의에 대한 혹은 근대사회의 주요 사상적 흐름인 ‘보주수의-자유주의-사회주의’라는 세 가지 이데올로기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고 있다.

 

그의 의견은 때로는 과감하고, 때로는 의문스럽게 다가오게 되지만 분명 의미 있는 의견이고 날카로운 통찰력으로 가득하다.

 

그의 주저인 ‘근대세계체제’와 같이 철저하게 학문적이기 보다는 보다 자신의 생각을 자유롭게 논의하고 있기 때문에 학문적인 느낌보다는 에세이와 같다는 느낌을 갖게 된다. 물론, 읽게 된다면 이게 무슨 에세이냐고 반문을 하겠지만...

 

그는 ‘자유주의 이후’에서 ‘자유주의의 승리’에 대한 전면적인 재검토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말하고 있고, 그동안 우리가 서로 다른 시각을 갖고 있다고 생각되었던 세 가지의 이데올로기가 결국 자유주의 하나로 수렴될 수 있고, 세 가지 변종에 불과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말해서 결국 자유주의라는 것은 기술의 민주주의와(예컨대 자본주의의 세계화나 기술로 인한 근대화 등) 해방의 민주주의(말 그래도 전면적인 민주주의) 중 기술의 민주주의만 실현하려고 하고 있고, 해방적인 부분에서는 최대한 점진적인 혹은 부분적인 민주주의만을 이루게 하려고 한다고 생각하고 있다.

즉, 자유주의라는 것은 진정으로 변혁을 혹은 혁명을 일으키려고 하고 있는 세력 혹은 계급들에 대한 순응하게 만들기 위한 방법론일 뿐이라는 것이고, 1989년의 사건은 이러한 자유주의 프로그램이 더 이상 자신의 프로그램으로는 모든 것을 머뭇거리게 만들지 못하게 되어버린 상징적인 사건이라고 말하고 있다.

 

하지만 자유주의가 이제 종언을 고한다고 해서 그는 새로운 시대에 대해서 낙관적인 입장을 갖고 있는 것은 아니다. 그는 1989년의 사건으로 인해서 결국 우리는 다시금 근대시대 초기의 혼란기와 동일한 상황에 놓이게 되었다고 말하고 있고, 지금 이 시기(그는 1968년 혹은 1989년부터 시작해서 50년간의 기간이 매우 중요한 시기라고 말하고 있다)에 우리가 어떤 선택과 실천을 보이느냐에 따라서 새롭게 시작할 시대가 달라질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그는 되도록 보다 민주적이고 자본주의가 갖고 있는 문제점을 최대한 해결할 수 있는 사회를 위하여 우리가 할 수 있는 몇 가지의 방안을 제시하고 있지만 직접적이고 구체적인 의견을 제시하기 보다는 다양한 문제의식을 혹은 시각을 제공하는데 머무르고 있다. 그는 어느 정도 경지에 오른 사람들이 자주 보이는 모습인 직접적인 방안을 제시하기 보다는 함께 고민하고 노력해야 한다는 보다 안정적인 답안을 제시하고 있다.

 

공산주의가 붕괴되었다고 해서 자유주의와 자본주의의 근본적인 문제점은 전혀 해결되지 않았고, 보다 더 첨예한 대립과 문제점들을 양산시키고 있다는 것을 알려주기 위해서 그는 냉전 이후의 전세계적인 문제점과 (특히) 아프리카의 문제점에 대해서 논의하고 있고, 자유주의에 대한 근본적인 재검토를 위해서 세 가지의 이데올로기를 논의하고 있다.

 

그리고 그 자유주의라는 것이 그리고 세 가지의 이데올로기라는 것이 근본적인 해방과 민주주의를 위한 이데올로기가 아니라 지배계급의 수사일 뿐이며 대부분의 사람들의 삶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보다 새로운 시각이 필요하다고 말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그는 우리가 회의적으로 생각하게 된 맑스의 시각과 분석을 다시금 검토해야 한다고 말하고 있고, 맑스의 시각 중 지금도 그리고 앞으로도 중요한 의미를 갖을 수 있는 시각에 대해서 논의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현재의 헤게모니 국가인 미국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의 모습을 전망함으로써 자본주의가 그리고 자유주의가 극복시킬 수 없는 모순들이 무엇인지 그리고 그 모순들을 극복하기 위해서 어떻게 생각하고 행동해야 할지를 논의하고 있다. 또한, 미국의 헤게모니가 한계에 봉착했다는 것을 입증하는 두 개의 사례로 말하는 이란의 호메이니와 이라크의 후세인에 대한 그의 논의는 꽤 흥미로운 시각이었다.

 

기본적으로 월러스틴은 브로델과 맑스의 시각을 받아들이며 자신의 세계체제론의 입장에서 전체적인 논의를 이끌어가고 있고, 자신의 개인적인 전망을 덧붙이고 있다. 각각의 논의들이 독립적이면서도 전체적인 짜임새도 갖추고 있기 때문에 꽤나 흥미로운 의견을 제시하고 있다.

 

프랑스 혁명부터 공산주의 붕괴까지의 일련의 역사적 흐름과 월러스틴 개인의 전망과 시각이 뒤엉키면서 그의 논의가 때로는 복잡하게 다가오기는 하지만 전체적으로는 일관성을 갖고 있고, 지속적으로 자유주의에 대한 비판적인 논의를 이어가고 있다.

그리고 그는 간간히 우리가 할 수 있는 대안에 대해서도 말해주고 있다.

 

생각 이상으로 다양한 논의를 보여주고 있고, 새로운 각도로 바라보도록 만들어주고 있는 월러스틴의 ‘자유주의 이후’는 앞으로도 꽤 중요한 시선을 제공할 것 같다.

 

물론...

많은 사람들은 동의하지 않을 것 같지만...

 

 

참고 : 한국에서는 그의 업적에 비해서 월러스틴에 대한 논의가 그다지 이뤄지지 않는 것 같다. 좀 묻혀있다고 해야 하나? 개인적으로는 그에 대한 논의가 보다 더 활발하게 이뤄지기를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