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하악하악 - 이외수의 생존법
이외수 지음, 정태련 그림 / 해냄 / 2008년 3월
평점 :
그동안 기인으로 혹은 독특한 삶을 살아가고 있다는 소문의 소설가로 알려졌던 이외수가 이제는 ‘대세’가 되어버린 것 같다. 어떻게 그가 그런 위치에 올라섰는지 조금은 얼떨떨하게 생각하게 되지만 아마도 그것은 순전히 인터넷을 통해서 가능했던 것은 아닐까? 라는 생각을 우선 하게 된다.
그의 글이 갑자기 이전보다 더 뛰어난 내용을 담아내고 있다고 생각되지도 않고, 이제야 과거에 제대로 평가되지 못했던 그에 대한 평가가 이뤄지고 있다고 생각하지도 않기 때문에 조금은 그에 대한 환호가 이상하다고 생각하게 되는 것 같다.
그냥 그가 자신만의 독특한 혹은 젊은이들에게 큰 호응을 얻을만한 신선한 시각을 단순히 책만이 아니라 블로그나 트위터와 같은 젊은이들이 일상적으로 접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으로 전달하고 있기 때문에 얻을 수 있는 환호가 아닐까? 다양한 방식으로 독자들과 접하기 위한 그의 방식도 관심을 끌게 되지만 여전히 자신만의 독특한 시선을 유지하고 있다는 것이 더 얘기되어야 할 것 같다.
‘이외수의 생존법’이라는 부제가 있는 ‘하악하악’은 이런 이외수의 지금 현재의 모습을 잘 담아내고 있다고 생각한다. 책의 두께에 비해서 지나칠 정도로 짧은 분량으로 글이 채워져서 금방 읽게 되었는데, 글을 읽으면서 그의 약간은 짓궂은 농담 속에서도 진지함 찾기도 하고, 술이라도 한잔 하면서 삶을 어느 정도 살아본 사람이 젊은이들에게 듣기 편하게 삶에 대해서 얘기를 해주는 느낌도 들었다.
가장 중요한 것은 그의 이런 생각들이 설교하듯이 말하는 것이 아니라 눈높이가 맞고 흔쾌하게 고개를 끄덕이고 동조하게 된다는 것이지 않을까?
멋진 그림들이 있기 때문에 글을 읽는 것인지 그림에 딸린 글들을 읽게 되는 것인지 헷갈리게 되었지만, 글도 그림도 나쁘지 않았다고 생각한다. 다만, 그 글과 그림의 분량이 책의 두께에 비해서 너무 부족하다는 생각도 하게 된다.
날카로움을 갖고 있지만 전반적으로는 독특한 사고를 하고 있는 이외수의 매력을 느끼는 수준에서 멈춰서고 있다. 그가 사회에 대해서 그리고 보수적인 꼰대들에 대해서 어떻게 거부감을 갖고 있는지를 알게 되면서도, 한글에 대한 애정과 함께 그 애정이 단순히 고어를 사용함으로써의 애정이 아니라 새롭게 만들어지는 신조어들을 어떻게 맛깔나게 활용할 수 있는지도 말해주고 있다. 과연 그 단어들을 사용하는 것이 적절한 것인지 아닌 것인지에 대해서는 그는 침묵하고 있지만.
이런 것들이 그에 대해서 호감을 갖게 되기도 하지만 호감 수준에서 멈추도록 만들기도 한다.
꽤 뛰어난 문장들이 있어서 한번쯤은 곱씹게 되기도 하지만,
조금은 부족하다는 생각이 앞서기만 하고 있다.
아마도 이외수의 산문들은 매력을 갖고는 있겠지만 크게 관심을 갖게 되지는 못할 것 같다. 이건 순전히 내 개인적인 ‘취향’ 때문인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