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폭력과 상스러움 - 진중권의 엑스 리브리스
진중권 지음 / 푸른숲 / 2002년 4월
평점 :
절판
진중권의 발언들은 조금은 선정적이고 과격한 것 같지만 따지고 보면 그다지 틀린 말을 하지는 않는다. 그가 표적으로 삼는 사람들은 분명히 기분 나쁘게 듣게 될 것이고, 그의 생각에는 동의해도 그의 발언이 조금은 격한 것은 아닐까? 라고 생각하게 되어서 그의 발언에 조금은 민감한 사람들이 있을 수 있기도 하겠지만 그가 틀린 말을 하는 것은 아니니 그의 말투에 그다지 기분 상할 필요는 없을 것 같다.
그리고 지금보다 더 혈기가 넘치던 2002년에 발표한 ‘폭력과 상스러움’은 그가 여전히 악에 바친 듯이 싸우고 있는(때로는 진흙탕인줄 알면서도 그는 뛰어든다) 수구 기득권 세력에 대한 비판에 많은 부분을 할애하고 있다. 여전히 사회에 대한 권력을 움켜잡고 있는 조선일보의 만행들과 박정희로 대표되는 권위주의 세력 그리고 그런 세력에 기생하고 있는 자유주의라고 자처하는 보신주의자들에 대해서 그는 날카로운 비판을 하고 있고, 다양한 곳에 기고한 글들이라 조금은 통일성이 떨어지기는 하지만 그렇기 때문에 오히려 현실감이 있다고 생각하게 된다.
그는 단순히 각각의 사안에 대해서 직접적으로 참여를 하는 것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앞으로 사회가 그리고 지식인이 보여주어야 할 모습들에 대한 모색과 자신만의 결론도 내세우고 있으며 한국 사회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주체형성과 정체성은 어떻게 구성되고 있는지 짧은 분량이지만 충분히 의미 있는 분석을 내놓기도 하기 때문에 그의 다양한 시각들(에세이스트와 저널리스트로서의 시각과 학자로서의 시각)을 살펴볼 수 있다 .
이후의 그의 저작들이 미학에 관한 책들도 꾸준히 발표하고 있지만 한국인의 정체성과 한국인은 어떻게 권력에 의해서 자기 자신을 구성하게 되는지에 대해서 꾸준한 관심을 보이고 있는 것을 생각해 본다면 이후의 그의 관심들을 조금은 엿볼 수 있기도 하다.
그의 주된 비판세력은 수구기득권 세력이라고 불리는 자들인데, 그들은 시대착오적이라는 것을 넘어서서 유사 파시즘에 가까운 모습을 보이고 있다는 것에 그는 큰 위기의식을 갖고 있었던 것 같다. 결국 이 세력이 현재 모든 곳에서 권력일 움켜잡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의 전망도 그리 밝지는 않을 것이다.
다양한 주제들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통일성이 없다는 것을 그 자신이 우선 잘 알고 있었기 때문인지 되도록 그는 비슷한 주제의 글들을 묶어두고 그 장의 마지막 부분에서 전체적인 내용을 정리하는 방식을 취해서 보다 통일성을 만들어내고 있고, 개인적으로는 보다 사회적이고 정치적이지는 않겠지만 오히려 더 중요한 논의라고 생각하는 ‘정체성’에 관한 장이 가장 인상 깊었다.
홍세화, 진중권, 김규항, 박노자 등의 글을 읽을 때마다 자주 하는 말이지만 2000년대 초부터 그들의 발언과 의견들에 조금씩 힘을 얻기 시작했지만 그들이 지적하는 문제들은 전혀 해결되지 않고 보다 문제가 커지고 있다는 것에서 한국 사회의 보수성을 다시금 확인할 수 있고, 사회가 보다 나아지기 위해서는 불편하지만 타당한 그들의 의견에 조금은 귀를 기울여야 할 것 같다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