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백년 동안의 고독 - 1982년 노벨문학상 수상작 ㅣ 문학사상 세계문학 6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 지음, 안정효 옮김, 김욱동 해설 / 문학사상사 / 2005년 7월
평점 :
아무런 생각하기 싫어서 소설이나 읽자고 생각하며 펼쳐든 책이지만...
이 작품은 그리 쉬운 작품은 아니(었)다.
딱히 읽는데 어려운 것도 아니었고, 내용을 읽어나가는 것보다 등장인물 이름을 외우기가 더 힘들기도 했는데도, 이상하게 이 작품이 쉬운 작품이 아니라는 생각을 우선 하게 된다.
왜 그럴까?
마르케스의 ‘백년 동안의 고독’을 읽다보면 이 작품의 등장인물들은 활기와 유머가 있으면서도 결국에는 자신의 세계에 침잠되어만 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들은 결국 많은 경험과 그로 인한 깨달음을 얻기는 했지만 결국 자신의 세계 속으로 빠져들어만 가고 있다.
작품은 때로는 세상을 비틀어서 가져오고,
라틴 아메리카의 슬픈 역사를 은유적으로 들려주고 있기는 하지만 책을 전체적으로 읽은 다음에 들게 되는 기분은 작품에서 등장하는 모든 인물들의 고독만이 남겨질 뿐이다.
운명을 이겨내지 못하고 혹은 운명에서 벗어나려고 하지만 결국 그 운명에서 벗어나지 못하여 씁쓸하게 그것을 받아들이는 인물들을 바라볼 뿐이다.
그리고 결국 그들은 사랑하고 싸우고 그리고 죽음에 이르며 자신의 삶을 다시 돌아본다. 그리고 남겨진 것을 말 그대로 고독일 뿐이다.
마르케스는 지속적으로 근친상간의 유혹과 욕망 그리고 죄악과 터부에 대해서 얘기를 한다. 관심을 넘어서 집착에 가까운 마르케스의 근친상간에 대한 그의 시각을 다른 작품들에서는 어떤 방식으로 표현되고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그의 집착은 유독 읽는 내내 신경 쓰이게 만든다.
만약 남미의 여름을 그리고 생각이상으로 춥다고 하는 그곳의 한기를,
그리고 지독하다고 말하는 폭우를 경험했다면 이 작품을 보다 풍부하게 읽어낼 수 있을 것이지만 아쉽게도 부분적으로만 이해할 수 있을 뿐이었다.
보다 풍성하게 읽기 위해서는 라틴 아메리카의 역사와 그들의 삶을 바라봐야 할 것 같다.
환상과 현실, 괴로움과 성적인 유혹 그리고 삶의 고독을 담아내고 있다.
비극적인 듯 하면서도... 비극보다는 저주스러울 정도로의 고독을 담아내고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이게 무슨 고독이냐... 라고 말을 하다가도 이것이야 말고 고독은 아닐까? 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