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만한 제국 당대총서 14
하워드 진 지음, 이아정 옮김 / 당대 / 2001년 1월
평점 :
품절


친한 친구의 적극적인 추천으로 하워드 진의 ‘오만한 제국’을 읽게 되었다. 개인적으로는 별다른 관심을 갖지 않고 있었으나, 읽는 동안 그의 날카로운 지적들에 너무 뒤늦게 그를 알게 되었다는 아쉬움을 느끼게 되었는데, 기회가 된다면 그의 다른 저작들도 읽어봐야 할 것 같다.

 

‘미국의 이데올로기로부터 독립’이라는 책의 부제 그대로 하워드 진은 미국인들이 자신들이 믿고 있었고 당연하게 생각하고 있었던 것들이 얼마나 거짓된 것이었고 수많은 투쟁을 통해서 얻어낸 것인지에 대해서 말해주고 있다.

그는 그러한 것들을 설명하기 위해서 다양한 사례들과 관련 공문 및 인터뷰를 인용하고 있고, 그의 의견에 동의를 하든 아니든 간에 그의 주장이 날조되었다거나 틀렸다고 말할 수는 없을 것이다.

 

단순하게 말해서는 그의 전반적인 논의는 마키아벨리로 대표되는 현실주의에 대한 반박으로 이루어져있고, 세부적으로는 인간의 폭력성과 회의주의에 대한 반박과 2차 세계 대전 및 그 외의 전쟁의 정당성에 대한 비판, 공정하고 객관적인 것처럼 보이지만 내면을 들여다보면 사회적 분위기나 정치적인 심판을 내리는 법에 대한 문제제기와 시민불복종에 대한 옹호, 미국 사회에서는 잘 다뤄지지 않는 계급문제와 미디어와 언론의 자유, 인종문제 까지 미국 사회에서 가장 첨예한 갈등을 야기하고 있으면서도 때때로 은폐되고 있는 문제들을 조목조목 지적하고 있으면서도 그러한 지적이 학문적으로만 다가가지 않게(즉 읽는 사람이 어렵게 느껴지지 않게) 최대한 명료한 문장으로 풀어내고 있다.

 

철학적이고 모호한 느낌이 묻어나는 글들을 자주 읽었기 때문에 하워드 진이나 촘스키와 같이 보다 직접적이며 명확한 문장들을 읽으니까 그동안 너무 뜬구름을 잡으려는 글들만 접했던 것은 아니었을까? 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오만한 제국’을 읽는 동안 그가 미국인들에게 그들이 갖고 있는 이데올로기를 폭로하기 위해 쓴 글이라는 생각을 하기 보다는 지금 한국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우리들이 얼마나 허위의식에 사로잡혀 있는지 말해주고 있는 것 같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그가 지적하는 대부분의 것들이 현재 한국에서도 유효한 것 같고 그가 그의 글을 읽는 사람들에게 어렵고 힘들겠지만 옳지 않다고 생각하는 것에 투쟁하고 맞서서 싸워야 한다고 말하듯이 누구를 위하는 것이 아니라 나 자신을 위해서 옳지 않다고 생각하는 것에 굴복하지 않으려고 노력해야할 것 같다.

 

물론... 항상 그렇듯이 마음만 앞설 뿐이다.

그의 신념에 차있고 명료한 문장을 닮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