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분석 강의 프로이트 전집 1
프로이트 지음, 임홍빈.홍혜경 옮김 / 열린책들 / 2004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프로이트에 대해서 다시 관심을 갖게 되어서 ‘열린책들’에서 발간된 그의 전집들 중 읽지 못했던 책들을 서서히 읽어나가고 있다. 오랜만에 읽느라 그의 논의를 제대로 따라잡는데 시간은 걸리고 있지만 여전히 그의 논의는 흥미롭다.

 

‘정신분석 강의’는 그의 대표적인 저서이면서 정신분석에 관심을 갖기 시작하는 초심자들에게도 읽어나가는데 보다 쉽게 받아들일 수 있을 것 같다. 프로이트가 빈 대학에서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강의한 내용을 책으로 펴낸 것이기 때문에 논의도 최대한 이해하기 쉽도록 해주고 있으며 일반인들도 받아들일 수 있도록 농담과 실수 행위를 통해 무의식의 존재에 대해서 이해할 수 있도록 해주며 꿈으로 이야기를 진행시켜 무의식의 존재를 어떻게 꿈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 말해주며 당시로서는 엄청난 파격이었고 지금도 논쟁적인 부분으로 다뤄지는 유아성욕에 대해서(그리고 부분적으로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도) 조심스럽게 다루고 있다.

 

이렇게 무의식의 존재를 보다 받아들이기 쉽도록 유도한 다음에서야 그는 본격적으로 신경증의 영역으로 강의를 진행시킨다.

 

신경증을 다루고 있는 후반부는 실제 임상 사례들을 중심으로 이뤄지는 내용이 아니라 지극히 이론적인 부분에 집중되어 있기 때문에 그의 논의를 따라가는데 많은 어려움이 따르기는 하지만 프로이트 본인이 어째서 실제 사례들 위주로 하지 않고 이론적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을 하는지에 대해서 자주 언급하고 있기 때문에 그러한 그의 의도를 받아들인다면 어렵기는 하지만 계속 읽어나가려는 의욕을 갖게 될 것이다.

 

그의 초기 이론들을 정리하는 느낌을 받을 수 있기도 한 ‘정신분석 강의’는 정신분석에 대해서 어느 정도 알고 있는 사람들도 자신의 알고 있는 것을 재확인하거나 하나의 흐름으로서 이해할 수 있는데도 좋을 것 같고, 정신분석에 관심을 갖기 시작한 사람들에게는 프로이트의 강의를 통해서 정신분석과 무의식의 존재에 대해서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 같다.

 

프로이트 본인으로서도 자신의 그동안의 논의를 정리하는 의미로서 강의를 이끌어갔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