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구덩이 ㅣ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53
안드레이 플라토노프 지음, 정보라 옮김 / 민음사 / 2007년 8월
평점 :
러시아 소설은 도스토예프스키나 톨스토이 정도만 읽어봤기 때문에 안드레이 플라토노프에 대해서는 전혀 사전 지식이 없이 읽게 되어서 제대로 작품을 파악하지는 못한 것 같다.
게다가 책을 읽기 전에 예상한 것과는 다른 내용이기 때문에(책에 적혀있는 ‘러시아의 조지 오웰’이라는 말은 최대한 무시하고 작품을 읽기를 권하고 싶다) 조금은 의욕을 잃고 읽게 되었다.
광고 문구는 그저 광고 문구이기 때문에 조지 오웰이라던지 디스토피아와 같은 단어에 눈길이 끌려 책을 읽게 된다면 조금은 지루함을 느낄 수 있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이다.
하지만 스탈린 시대의 소련 사회가 어떠했는지,
점점 더 폐쇄적이고 경직되어가는 사회에서 그들은 어떻게 살아갔는지에 대해서 알고 싶은 사람들에게는 플라토노프의 책은 소중한 선물이자 자료가 될 것 같다.
사실주의... 라고 말하기에는 덜 건조하고 작품 전체에 조금은 독특한 느낌을 갖게 만들고 있기에 역자 해설에서 번역을 하기 힘들었던 부분에 대한 내용이 이해가 가게 되었고 번역자의 힘겨운 노력은 성공적이었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스탈린 시대의 소련 사회에 대해서 특별히 알고 있는 것이 없기 때문에 작품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해서 아쉽기는 하지만 당시 사회를 살아가는 다양한 사람들의 모습을 엿볼 수 있는 좋은 작품이었다는 것은 분명한 것 같다.
작품의 제목이며 중요 배경이기도 한 (작업현장을 말하는) 구덩이가 어떻게 작품의 등장인물들의 이상을 말해주고 있고, 작품이 진행되면서 그 이상이 어떻게 몰락해 가는지를 느낄 수 있으며 마지막에 자신들의 이상을 그곳 깊은 곳에 묻으며 그들의 이상과 좌절 그리고 실제 소련 사회의 이상과 좌절을 잘 보여주고 있다.
플라토노프는 사회와 자신의 작품을 긴밀하게 연결시키고 있으며 많은 시간이 지난 지금도 작품을 읽는 도중 그 긴장감을 느끼게 만들고 있다.
문학이 사회를 직접적으로 반영하게 될 때 어떤 작품이 만들어지는지 말해주는 좋은 사례인 것 같다.
미래를 배경으로 한 우울한 작품이라고 생각하며 읽은 나로서는 당황스러웠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