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이지 않는 도시들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38
이탈로 칼비노 지음, 이현경 옮김 / 민음사 / 2007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특별한 생각 없이 제목이 마음에 들어서 구입한 책이었는데,

이렇게 아름다운 작품을 손에 잡게 되어서 너무 기쁘다.

 

개인적으로는 칼비노에 대해서 전혀 몰랐는데,

그의 다른 작품들도 빨리 읽어보고 싶다.

 

도시에서 태어나지는 않았지만 내가 지금까지 자라오고 지금도 살아가는 ‘도시’라는 것에 대해서 많은 관심이 있었는데, 최근 공간과 주거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지만 ‘도시’라는 것에 대해서 다뤄지는 경우는 그다지 많지 않았던 것 같다.

특히 문학에서는.

 

작품을 읽어나가며 칼비노의 글은 굉장히 매력적이고 꿈결 같으면서도 날카로움을 감추고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그는 탁월한 감각으로 도시의 다양한 모습을 글로써 담아내고 있고, 긍정적이고 부정적인 모습을 둘 다 아름답게 묘사하고 있다.

내가 지금까지 변변치 않게 읽은 수많은 책들 중에서 가장 아름다운 글들이 담겨져 있다고 말하고 싶다.

 

개인적으로는 이상하게 보르헤스가 자주 떠올려지는 그의 글이었는데,

몇몇 평들을 읽어보니 보르헤스와 함께 자주 거론되는 것을 보니 나만 그런 느낌을 받은 것은 아닌 것 같다.

 

작품을 읽어보면 쿠빌라이 칸과 마르코 폴로의 대화를 통해서 이야기 흐름의 방향을 잡아주고 있고, 시간과 공간 그리고 다양한 것들을 중첩시키고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작품에서 공간과 시간은 어떤 의미에서 전혀 무의미하게 다뤄지는데, 현대 도시와 고대 도시를 동일한 공간과 시간 속에 담아두고 있다는 느낌을 갖게 된다.

그 순간은 황홀하고, 아름답다.

 

어울리지 않을 것 같은 결합이겠지만 칼비노는 미치도록 아름답게 글을 써내려갔다.

칼비노는 지속적으로 여행을 마치며 도시로 향하는 순간을 말해주고 있고, 도시에 도착하였을 때의 첫 느낌과 인상을 말해주고 그 도시의 수많은 사연을 말해주고 있다.

 

하지만 그 사연들은 결국 도시에 대한 얘기이기도 하겠지만 도시를 바라보는 칼비노 본인의 얘기이기도 하다.

 

어떤 의미에서 이 작품에 대한 설명은 무의미할 뿐이다.

한없이 아름다운 이 작품을 직접 읽고 느끼는 것만이 가능할 뿐이다.

 

200페이지 정도의 짧은 분량에 따듯하고 감미로운 이 작품을 읽다보면 도시와 사회에 대한 여러 인문학 서적들은 아무리 분석적으로 노력했어도 이 작품에 비해서 전혀 도시에 대한 핵심을 파악하지 못하고 있었던 것은 아닐까? 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감성적으로는 치명적이고,

분석력은 날카롭다.

 

그리고 마지막에 마르코 폴로의 입을 통해 칼비노는 지금 세상과 삶을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어떠한 태도를 갖고 삶을 살아가야 하는지에 대해서 말해주고 있다.

 

살아 있는 사람들의 지옥은 미래의 어떤 것이 아니라 이미 이곳에 있는 것입니다.

우리는 날마다 지옥에서 살고 있고 함께 지옥을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지옥을 벗어날 수 있는 방법은 두 가지입니다.

첫 번째 방법은 많은 사람들이 쉽게 할 수 있습니다.

그것은 바로, 지옥을 받아들이고 그 지옥이 더 이상 보이지 않을 정도로

그것의 일부분이 되는 것입니다.

두 번째 방법은 위험하고 주의를 기울이며 계속 배워나가야 하는 것입니다.

그것은 즉 지옥의 한가운데에서 지옥 속에 살지 않는 사람과

지옥이 아닌 것을 찾아내려고 하고 그것을 구별해 내어 지속시키고

그것들에게 공간을 부여하는 것입니다.

 

더 이상 무슨 말을 해야겠나?

그저 감사함에 고개를 숙일 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