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의 여인 레이먼드 챈들러 선집 4
레이먼드 챈들러 지음, 박현주 옮김 / 북하우스 / 2004년 10월
평점 :
절판


챈들러의 네번째 장편 소설인 '호수의 여인'은 다른 작품들에 비해서는 유머러스하다고 평가되는 작품이다. 개인적으로는 '빅 슬립', '기나긴 이별'만 보았기 때문에 그다지 '유머'있다고 하는 부분이 뭘 말하는 것인지는 모르겠지만... ^^;;;

아마도 팬들이 아니면 그렇게 큰 차이점을 느끼지는 못할 것 같다.

 

이번 작품이 다른 작품들에 비해서는 차이를 느낄 수 있는 점은 아마도 필립 말로가 '도시 이외의 지역'에서 사건을 경험했다는 것 정도가 아닐까?

해설에서는 도시 / 산골(호수)를 이분법적인 의미가 있다고 말하고 있는데(추악함과 순수함의 대립이랄까?), 이러한 이분법은 헐리우드 영화나 기타 다양한 방식으로 많이 얘기가 되었던 것이라 크게 신경쓸 필요는 없는 것 같다.

 

아마도 이러한 방식으로 나누는 것은 그다지 챈들러답지 않은 방식인 것 같은데(챈들러의 인물들은 모두 문제가 있는 인물들이었고, 자신의 더러움과 추악함을 더러움과 추악함으로 덮으려는 인물들이었고 유일하게 추악하지만 자신의 더러움을 덮지 않으려는 인물이 필립 말로라고 생각한다), 이번 작품에서는 패튼 보안관이라는 노쇠했지만 분별을 갖고 있는 캐릭터를 등장시키며 보다 다른 느낌을 갖게 만들었다.

 

이야기도 기존의 다른 작품들에 비해서는 덜 무겁기 때문에 당시의 챈들러가 어떤 기분으로 책을 써냈을지 모르겠지만 여유있게 작업에 임했으리라는 생각이 든다.

때문에 더러움과 우아함이 공존하고 있는 필립 말로의 독특함이 조금은 약해진 것 같다.

(생각보다 덜 더럽고 우아하다고나 할까?)

 

이야기 자체는 챈들러의 책을 몇권 읽은 사람들이라면 말하지 않아도 어떻게 구성되고 흘러가는지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챈들러는 사건에 대해서는 무심하다는 평가는 적절할 것 같다.

그가 진심으로 관심이 있는 것은 사건이 일어난 다음과 그것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만나게 되는 사람들의 이면들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그런 진흙탕 속에서 악전고투하는 필립 말로의 모습을 통해서 동질감을 느끼기도 하고,

우리도 이들에 비해서 그다지 깨끗하지 않다는 것을 다시금 깨닫게 만들기도 하다.

그런 의미에서 그는 분명 단순한 범죄와 스릴에 관심을 두는 것이 아니라 점점 거대하게 되어가는 도시의 이면을 까발리는 폭로자나 사회소설가라고 생각된다.

아쉽게도 이야기에는 부분적으로 공백이 있고,

보다 논리적이거나 짜임새 있는 구조는 아닐지라도 말이다.

 

그럼에도 그는 분명 '도시'라는 공간의 타락함과 이면을 가장 깊이있게 파악한 몇 안되는 작가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그와 함께한 필립 말로 또한 우리가 만날 수 있는 가낭 밑바닥과 가장 높은 곳에 동시에 존재하는 것 같은 몇 안되는 캐릭터라고 생각한다.

 

아쉽게도 보관하고 있는 챈들러의 소설이 이것 뿐이라서 그와의 만남은 기약할 수 없는 나중으로 미뤄야 할 것 같다.

 

나중에 시간이 된다면 보다 챈들러의 작품을 음미해보고 싶다.

요즘에는 워낙 짬이 없어서(게을러서) 급하게 읽거나 끊어서 읽고 있는 중이라 제대로 읽었다고 말하지 못하겠다.

 

한동안은 아주! 두꺼운 책을 읽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