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빅 슬립 ㅣ 레이먼드 챈들러 선집 1
레이먼드 챈들러 지음, 박현주 옮김 / 북하우스 / 2004년 1월
평점 :
갖고 있는 세권의 '레이먼드 챈들러'의 책들 중에서 두번째로 '빅 슬립'을 읽게 되었다.
이미 한번 읽은 책이기는 한데... 전혀 기억도 없고,
끝까지 읽어도 기억나지 않는 것이 과연 이책을 진짜 읽기는 했던 것 맞나? 하는 생각을 갖게 되었다.
아마도 처음 책을 읽었을 때는 챈들러의 스타일에 감도 잡지 못하고 내가 예상한 것과는 조금은 다르기 때문에 실망스럽다느 생각도 있었을 것 같고, 예상과 다르니 읽는 둥 마는 둥 했을 것 같다는 생각이다.
그것도 그렇지만, 그때는 지금보다 더 젋었기 때문에(혹은 보다 멍청했기 때문에) 필립 말로 / 챈들러가 보았던 세상에 대해서 어떠한 공감도 못 느꼈기 때문에 흥미없게 읽었을 것 같다는 생각이다.
지금도 어느정도 그들의 시선처럼 세상을 볼 수 있을 정도의 내공은 없지만... 흥미롭게 추악한 도시의 인간군상들을 바라볼 수 있을 정도는 된 것 같다.
그만큼 나도 추악해졌다는 것일 수 있고(이전은 순수했다는 뜻은 아니다. 추악하다는 것도 모르고 있을 정도로 무지했다는 것이 정답일 것이다. 자신이 악마인지도 모르는 악마가 있듯이).
아마도 재미를 못 느낀 이유는 '이야기 구조'에서 뭔가 못마땅하다는 생각을 갖고 있었기 때문이지 않을까? 개인적으로는 '제임스 엘로이'의 작품을 아주 재미나게 보았기 때문에 발빠른 이야기 구조를 갖고 있는 엘로이에 비해서 조금은 느슨한 진행(그렇지만 갑작스럽게 의문이 풀리고 새로운 방향으로 나아가는 것은 챈들러의 장기이자 매력이다)이 영 흥미를 느끼지 못하게 되었기 때문일 수 있다.
더군다나 마무리에 가서 느닷없는 결론은 어느정도 이해가 되기는 하지만 설득력은 떨어진다고 생각해서 반감을 갖게 되었던 것 같다.
하지만 이것은 어떤 의미에서 챈들러에 대한 부당한 평가일 것이다.
그가 노리고 있는 것은 어떤 사람이 어떻게 죽었고, 누가 죽였나? 를 갖고 독자들과 함께 머리싸움을 원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런식으로 이야기를 만들려는 계획은 처음부터 없었다.
때문에 꽉 짜이고 촘촘한 완결성은 엘로이나 다른 작가들에 비해서는 약하다고 느낄 수 있다.
오히려 챈들러가 노리는 것은 어떠한 상황을 설정하게 만들어서 그를 통해서 다양한 인간군상을 보도록 하고, 사회에 대한 그의 시각과 생각이 중심을 이루고 있다고 생각한다.
LA라는 도시와 도시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을 '필립 말로'라는 인물을 통해서 얼마나 추악한 곳인지와 얼마나 그렇게 추악한 곳에서 얼마나 추악한 일들과 추악한 사람들이(추악 / 타락 등등은 챈들러의 작품에서 빼놓을 수 없는 단어이다) 존재하는지에 대한 보고서와 같은 작품을 챈들러는 만들어 내었다.
그는 일종의 사회소설가이고, 미국의 발자크와 같은 존재일 수 있을지도 모른다.
물론... 타락한 발자크이겠지만.
챈들러의 작품과 필립 말로라는 인물은 나눠서 설명할 수 없을 것 같다.
그는 작품의 중심 인물이며,
항상 이야기를 이끌어가는 인물이다.
터프하고 거친 이미지를 갖고 있기는 하지만 어떤 면에서는 굉장히 섬세하고 고독한 인물이다.
겉으로만 판단하기에는 그는 아주 복잡한 성격을 갖고 있는 인물로 느끼게 되는데,
아마도 그 이유는 끝없이 자신의 생각을 독백을 통해서 독자들에게 전달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냉소적인 유머와 빈정거림은 읽으면서 감탄하게 되지만 꼭 써먹고 싶다는 생각을 갖게 되면서도 써먹었다가는 무덤파는 꼴이나 마찬가지일 것 같다는 생각을 갖게 만든다.
그는 기사가 필요가 없는 세상에 태어난 기사와 같은 존재이다.
그의 대사처럼 처음부터 기사는 게임에서 제외된 존재였고 그는 자신과 같은 사람이 필요없어진 세상에서 살아가는 추락한 영웅일 것이다.
자신이 필요할 곳이 없이 살아가는 그이기 때문에 당연히 그는 살아가기 위해서 무언가와 타협한다.
별 수 없이 타락하게 되고 추악해졌다고 하지만 그는 자신에 대한 최소한의 예의와 품위를 지켜나가며 살아간다. 아마도 그가 최소한을 지켜나가지 못하는 사람들에 대해서 필요 이상으로 경멸하고, 최소한을 지켜나가는 사람에 대해서는 최대한 존중을 하는 이유는 세상과 자신에 대한 예의와 품위를 어떻게 지켜나가는지에 대한 평가일 수 있을 것 같다.
첫 작품인 '빅 슬립'부터 마지막 작품으로 평가되는 '기나긴 이별'까지 세상에 대한 필립 말로 / 챈들러의 시각은 변함없으며 보다 진지하고 감상적으로 되어가는 것 같다.
처음에는 냉소적이었다면, 후기에는 쉽게 단정내리기 보다는 보다 고민한다고나 할까?
'빅 슬립'은 단순한 범죄소설을 넘어서 도시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에 대한 보고서와 같은 위력을 지녔다. 그정도로 챈들러 / 말로가 보았던 세상은 그들이 자신들의 시각에 어느정도 확신을 가졌을지 몰라도 핵심을 파악했다고 생각된다.
내가 챈들러의 책을 읽으면서 들었던 생각은 단 하나다.
말로가 보았을 때 나는 그의 경멸의 대상일까? 존중의 대상일까?
아무래도 후자일 것 같다는 생각이지만.
나도 최소한을 지켜나가고 싶다.
까다롭다기 보다는 느슨하고 조금은 구성이 불만스럽기는 하지만 누구도 부정할 수 없는 지독한 매력을 가진 챈들러의 힘을 느낄 것이다.
깨끗한 것은 없다.
문제는 얼마나 더러워 졌느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