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력과 지식 나남신서 88
콜린 고든 지음 / 나남출판 / 1991년 2월
평점 :
품절



권력과 지식 - 미셸 푸코와의 대담
요즘에는 머리가 복잡해서 조금은 편하게 읽을 책을 고르다가 오랜만에 푸코의 책을 하나 읽으려고 했다. 물론 푸코에 관한 책이 쉽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아니다.

그렇게 무모한 발언을 할 정도로 막나가는 인간은 아니니까.

 

대담집이라고 하니까 골때리게 어려운 사람도 말로 하면 나름 알아먹기 쉽게 하지는 않을까? 하는 마음과 대담집이니 지가 아무리 그래도 나름 상도덕이 있으면 쉽게 말하려고 노력하겠지... 하는 마음에 읽었는데...

 

쉽기는 커녕 어려워서 머리쑤셔서 짜증이 더 생겼다.

가뜩이나 요즘 스트레스 투성인데. ㅠㅠ

 

그럼에도 불구하고 푸코는 나름대로 최대한 성의있고, 상대방에게 자신이 무슨 의도로 작품을 구성했고 얘기하려는 것인지 노력하는 티가 역력하다.

또한 자신이 저작들이 어떤 오해를 받고 있는지 알고 있기 때문에 그러한 오해에 관한 해명 아닌 해명을 하고 있다.

 

번역가나 편집자가 말했듯이 대담집이기는 하지만 대담을 한 사람들이 전부 다르기 때문에 각각의 관심과 푸코에 대한 호감도에 따라서 질문의 방식과 내용이 천차만별이다.

첫번째로 나오는 마오주의자들과의 논쟁은 날카로운 느낌이 묻어나는 대담이었다면,

어떤 대담은 푸코의 작업에 대한 흥미와 지지를 느낄 수 있기도 하고,

다른 대담은 푸코의 노력은 인정하지만 뭔가 이건 아니라고 생각한다는 느낌이 묻어나는 대담도 있었다.

 

때문에 이 대담집에서는 푸코의 사상적 변화나 혹은 그가 어떤 문제의식을 갖게 되었는지 하는 '삶과 철학'식의 내용은 아니다.

그런 책을 원한 사람에게는 약간의 실망과 혼란이 올 수 있으며(시기도 들쭉날쭉하기 때문에 시기순으로 대담을 정리한 것도 아니다), 푸코에 대해서 보다 혼란스럽게 느낄 수 있게 될지도 모른다.

 

하지만,

푸코의 저작들을 읽으려고 하고 있는 사람들이라면 각각의 대담에서 그가 자신의 작품에서 어떤 것을 의도하고 저술을 했는지, 혹은 어떻게 자신의 관심이 변화되었는지에 대해서는 비교적 상세하게 말을 해주고 자신이 어떠한 말을 하려고 했는지에 대해서 '이러 저러한 부분에 대해서 지적을 했으니 한번 이런 것에도 생각해주세요' 식으로 말하는 부분도 있기 때문에 그의 저작을 읽으려는데 도대체가 어떤 내용인지 감도 잡기 힘든 사람들은 한번쯤 자신이 읽으려는 책에 관한 대담을 찾아본 다음에 읽는 것도 나쁘지는 않을 것 같다.

 

푸코에 대한 각자의 평가는 다르겠찌만 그가 '니체'를 거론하며 어떻게 이용할지 생각하는게 좋을 것 같다는 식으로 말했듯이, 우리도 그의 사상을 엿보며 어떻게 써먹을지 생각해보는 것이 보다 긍정적인 방식일 것 같다.

 

좋던 싫던 푸코 이후에 푸코를 빼놓고 생각하기는 글러먹은 것 같으니까.

 

대담집이라 읽는데 수월하리라 생각했는데,

의외로 힘들었다.

평소에도 이렇게 어렵게 말하니... 친하게 지내기는 힘든 친구였을 것 같다. ^^;;;

이번에는 진짜로 편하게 읽을 책을 골라야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