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에 지다 - 상
아사다 지로 지음, 양윤옥 옮김 / 북하우스 / 200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뭔가를 온라인으로 검색하던 중에 이 책에 대해서 알게 됐다. 아마도 어쩌다가 신선조-신센구미에 대한 내용을 찾던 중이었으리라. 혹은 사무라이에 대한 어떤 것이거나.

 

신선조-신센구미에 대해서는 아는 게 적어서 이 책의 주인공이라 할 수 있는 요시무라 간이치로가 어떤 위치에 있는 사람인지도 잘 모른다. 소설이니 실존 인물과 어느 정도는 차이가 있으리라 본다. 다른 신선조-신센구미를 대표하는 이들에 비해서는 조금은 뒷자리에 있을 사람인 듯 싶다. 그래서 좀 더 창작이 가능한 인물일 것 같고.

 

주인공 요시무라 간이치로는 어수룩하고 우직한 무사. 천왕을 받들고 서양 오랑캐를 몰아낸다는 명목으로 상경(무사가 원적지를 이탈하는 것은 중죄로 간주되던 시절), 신센구미 대원이 되었으나, 사실은 가족이 먹고살 길을 찾기 위해서였다. 그의 유일한 바람은 어떻게든 돈을 벌어 고향에 두고 온 처자에게 보내는 것. 하지만 입에서는 공자님 말씀이 술술 나오고 귀신이라 불리는 놀라운 칼솜씨를 지녔어도, 그는 돈벌이에 환장한 타락한 사무라이라며 동료들에게 멸시받는다.”

 

다른 신선조-신센구미 사람들과는 다른 결을 보여주고 있다. 꽤 특이한 사람이네? 라는 생각을 하게 되는데, 책을 읽어가면서 어째서 그런지를 대충은 이해하게 된다. 그래서인지 솔직한 마음을 알고 싶기도 하고. 드문드문 자신의 생각을 말해주고 있긴 하지만 명쾌하게 뭔가를 드러내진 않고 있다. 조금씩 끄집어내고 있긴 하다.

 

조금은 독특한 구성이다. 삶의 끝자락에서 복잡한 심경의 요시무라 간이치로의 내면을 가끔씩 다루면서, 곁에서 그를 지켜봤던 이들이 어떻게 기억하고 추억하는지를 긴 세월이 지난 후 증언-인터뷰를 하는 형식으로 꾸며져 있다. 전투에서 패해 도망치던 순간과 시간이 지난 다음에 후일담을 해주는 내용이 번갈아가며 이어지고 있다. 시각도 입장도 시대도 다른 내용이 오락가락하고 있어 묘한 분위기가 만들어지고 있다.

 

“<칼에 지다>는 이 장면에서 반세기 후, 한 신문기자가 알려지지 않은 이 신센구미 대원과 관련된 사람들을 찾아다니며 인터뷰를 청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요시무라와 그 기억을 공유하는 사람들이 가슴속에 품었던 '진정한 의', '사람으로서 걸어야 할 길'에 대한 투박한 미학이 담긴 소설.”

 

피비린내 가득한 사무라이 소설이 아닌 격변의 시대를 살아간 사람들에 관한 이야기로 읽혀진다. 이런 소설을 좋아하는 사람들은 적을 것 같지만 꽤 읽는 재미가 있다. 하권을 읽어야겠다.

 

어떻게든 살아남는 것에 대해서 진지 표정으로 말해주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