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치 시대의 일상사 - 순응, 저항, 인종주의, 개마고원신서 33
데틀레프 포이케르트 지음, 김학이 옮김 / 개마고원 / 2003년 7월
평점 :
품절


처음 이 책을 읽었을 때 무척 흥미롭게 읽혀졌었는데, 다시 읽어봐도 뛰어나다는 생각은 변함없다. 어쩌다 나치 시대에 관한 영화들을 자주 보게 되어 생각나서 다시 읽기도 했지만 처음 읽었을 때도 나중에 다시 읽어야 할 것 같다는 마음을 먹고 있었기 때문에 이때다 싶어서 다시 펼치게 됐다.

 

 

“<나치 시대의 일상사>는 독일 나치 시대를 살던 평범한 사람들-, "작은 사람들(kleine Leute)"의 일상에 주목하고 있는 역사서이다. 지은이는 이 책의 집필 의도를 "나치즘을 근대의 병리사(病理史)'경험'하려는 것"이라는 말로 집약한다.

그가 말하는 일상, 혹 일상사의 영역은 '체제와 연관되는 일상'이며, 여기에 "아래로부터의 역사"라는 방향성이 추가된다. "아래"란 지배하는 것이 아니라 지배되는 사람들을 말하며, 따라서 지은이가 말하는 일상사란 '작은 사람들'이 체제를 어떻게 경험했는가의 역사인 것이다.

그는 '작은 사람들'의 일상을 관찰하면서, 당대 독일인들이 나치즘에 보낸 지지와 기대가 무엇이었으며, 그 기대의 충족도에 따라 어떠한 저항들이 있었는지, 나치즘은 그에 어떻게 반응했으며 그 반응은 어떤 과정을 거쳐서 결국 인종주의적 학살로 귀결되었는지를 묻는다.

지은이는 이러한 나치의 인종주의가 전근대적인 산물로 받아들여졌던 것과는 달리, 특정한 사회적 규범을 강제하는 수단으로 해석하면서 이는 서양 근대문명의 병리적 표현이라 주장하고 있다.”

 

 

나치 시대를 조금은 다른 시각으로 접근하고 있으며, 일상을 최대한 살펴보고 "작은 사람들 kleine Leute"이라는 이름을 붙인 일반인들이 어떤 식으로 나치 시대를 살았는지를 다루며 단순히 지배받는 이들로() 생각하는 것이 아닌, 삶에서 어떤 식으로 나치를 받아들였거나 대응을 했는지 알려주고 있다.

 

미셸 푸코의 철학을 많이 이어받아 나치 시대를 파악하려고 하고 있다는 점이 눈길을 끌고 단순하게 보았던 것들을 혹은 쉽게 지나칠 수 있는 것들을 자세히 뜯어보고 분석하고 있다.

 

흥미로운 내용이었다. 광기의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사람이라 저자의 시선을 지금 시대에 적용해보고 바라보고 싶기도 하고.

 

 

 

#나치시대의일상사 #순응 #저항 #인종주의 #데틀레프포이케르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