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빅 슬립 ㅣ 레이먼드 챈들러 선집 1
레이먼드 챈들러 지음, 박현주 옮김 / 북하우스 / 2004년 1월
평점 :
“하드보일드 hard-boiled - 무감각한, 정에 얽매이지 않는, 딱딱한, 일체의 감상이나 수식 없이 객관적으로 표현하는”
대실 해밋의 소설들을 순서대로 읽으니 자연스럽게 레이먼드 챈들러의 소설에 손이 가게 되었다. 둘을 꼭 묶어서 생각할 필요는 없겠으나 하드보일드를 말할 때면 항상 함께 언급되는 그들이니 대실 해밋에 이어서 이번에는 레이먼드 챈들러의, 혹은 필립 말로의 소설들을 순서대로 읽어봐야겠다.
“모아진 경찰 조사를 바탕으로 사건을 밝혀내거나 부러진 펜촉 하나로 사건을 재구성”하는 방식이 아닌 이제는 익숙하고 진부하다 말할 수 있는 현대식 탐정의 원형을 만든, “하드보일드 탐정의 이미지를 완벽하게 만들어내 훗날 이 장르를 개척한 대표적인 탐정으로 각인”시킨 필립 말로의 첫 번째 이야기인 이 소설은 너무 많이 알려져 있으니 더 덧붙일 말은 없을 것 같다. 개인적으로도 이미 읽어봤고 영화도 접한 다음 다시금 읽게 되니 처음 읽었을 때 느꼈던 복잡한 구성과 혼란스러움이 덜하면서 필립 말로에 좀 더 집중할 수 있었다.
“뭐니 뭐니 해도 챈들러의 매력은 그가 도시의 비정함, 쓸쓸한 분위기를 탁월하게 그려낸다는 점이다. 필연적으로 무자비하고 냉혹할 수밖에 없는 도시의 질서. 도시의 생리. 이야기 내내 비가 내리고 음모와 애증이 난무한다. 탐정이 가는 곳마다 죽음이 따르고, 사람들은 서로에게 결코 진실을 말하지 않는다. 도시는 회색빛. 모든 이에게 때가 묻어 깨끗한 사람은 없다. 아무리 비가와도 인간의 죄악은 쉽게 씻기지 않는다.”
단번에 챈들러의 소설을 즐기기는 쉽지 않을 것이다. 그런 사람이 있다면 필립 말로와 같은 쓰디씀을 겪어봤기 때문에 가능할 것이다. 가장 훌륭한 하드보일드 소설을 접하게 되었고 이것 이상으로 탁월한 하드보일드는 없을 것이니 다시금 그의 소설들을 하나씩 읽어봐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