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가페 쉬운성경 소(小) - 단본색인, Slim, 청색
아가페출판사 편집부 엮음 / 아가페출판사 / 2002년 12월
평점 :
절판
역사상 가장 위대한 책으로 분류되고,
또한 가장 논쟁적인 책을 꼽으라면 아마도 성경을 첫번째로 말하게 될 것 같다.
성경을 위대한 책으로 분류하는 사람이나, 혹은 그렇지 않은 사람도 정작 성경을 처음부터 끝까지 읽은 사람은 그리 흔하지 않다는 것을 알게되면 조금은 놀라게 될 수 있다(그것은 '교회'에 가는 사람들도 마찬가지이다. 기독교들 중에서도 창세기부터 요한계시록까지 전부 읽은 사람들은 그렇게 많지 않았다).
기독교도 가정에서 자란 나에게 기독교에 대한 나의 입장을 묻는다면 조금은 고민스럽게 대답하지 않을 수 없다. 나의 믿음은 지극히 개인적인 상황에서의 믿음(좋지 않은 일이 있거나, 중요한 일, 혹은 간절히 '운'이 필요한 상황에서의... 특정 신이 아니라 보편적인 '신'을 찾는 정도의)일 것이다.
그래도 살다가 한번쯤은 읽어보아야 한다는 생각이 떠나지 않았고 농담반 진담반으로 지은이에게 성경이나 한권 사달라고 했는데 곧바로 선물을 받게 되어서 그동안 근 몇개월동안 책을 읽게 되었다(역시나 의무감으로 읽는 책은 정말로 오랜 시간이 걸린다).
책의 내용은 그렇다 하더라도(실로 방대하지 않은가?) 번역상태는 정말 최악이라고 말할 수 있다. 다른 성경책들도 이런 정도일지는 모르겠지만 제대로 읽게 된다면 내가 읽는게 늦은게 의무감만으로 읽기 때문이 아닌지도 모른다는 착각이 들 정도로 번역상태는 개판 오분전이다.
한가지의 예를 들자면 도대체 '카이사'라는 단어는 어떻게 나온 말인지 궁금하게 물어보고 싶은 정도다. 카이사르면 카이사르고, 시저면 시저고, 황제면 황제지 도대체 저말은 어디서 온 말인지 궁금하다. 유대어라면 할말이 없지만... 그렇다면 유대어를 그냥 사용하는 멍청이가 어디있는지도 모르겠다. 로마 황제라고 이해하기 쉽게 쓰면 간편한 생각을 한권을 번역하기 위해 뭉친 많은 그들은 도대체가 이해할 수 없다. 한가지 더 예를 들자면 원래 '바울'은 처음에는 '사울'로 불리다가 '바울'로 불리게 되는지도 궁금하다. 중간이 어떤 이유도 없이 이름이 바뀌어서 무슨 이유로 그렇게 되는지 궁금했다.
이렇게 불평을 하더라도 초반부터 재미를 느끼지 않았기 때문에 뭐라고 할수도 없을 것 같다. 거의 대부분의 내용을 읽는둥 마는둥 하면서 읽었기 때문에 내용도 제대로 기억도 나지 않게 되었다.
어쨌던 읽기는 읽었다만 전부 읽은 다음에도 도저히 나에게는 믿음이 생기기는 커녕 있던 믿음도 없어질 것 같은 느낌만이 들었다. 유일신을 믿으며 고통과 괴로움을 잊기 위해서 만신창이가 된적이 없었기 때문인지 믿음보다는 불신과 믿는 사람들에 대해서 더욱 이해할 수 없게 되었다.
어떤 의미에서 더이상 무엇을 믿느냐는 소모적인 논쟁일 뿐이라고 생각한다. 이제는 어떻게 믿느냐가 중요한 것이라고 생각되어질 뿐이다. 아니면 믿음을 가진 당신이 그것을 어떻게 실천하는 것인지가 더욱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기독교와 원시신앙이 결합된 것 같은 한국에서는 이런 말이 씨도 먹히지 않겠지만... 그것은 믿음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고 생각한다.
어쨌던 원했지만 원치않았던 성경은 이제 나와 작별하게 되었다.
한동안은 종교와 관련된 서적을 읽게 되는 일이 또 생길 수 있겠지만 한동안은 찾지 않을 것 같다. 황금가지도 그렇고... 너무 읽는데 지치게 되었으니까.
기분전환을 하면서 가볍게 읽을 책들을 찾아서 읽어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