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칼의 노래
김훈 지음 / 생각의나무 / 2007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간만에 다시 국내 문학을 읽는 것 같다.
그동안 제대로 읽은 책들이 없어서 조금은 부지런하지 못한 것 같기도 했지만, 이번에는 연휴기간이기도 해서 조금은 쉽게 읽을 시간을 만들어낸 것 같다.
다들 손가락을 치켜드며 좋은 작품이라고 말하는 김훈의 "칼의 노래"를 헌책방에서 구입하게 되어 읽게 되었는데, 생각보다도 더 좋은 책인 것 같다.
처음에는 좋기는 하겠지만 그래도 이만큼은 아닐줄 알았는데,
예상보다도 더 좋은 작품이었다.
지금까지 읽은 국내 문학 중에서는 가장 최고인 것 같다.
(참고로 나는 국내 문학은 정말 읽지 않았다)
어떤 내용인지는 누구나 알기 때문에 그다지 중요한 것 같지는 않다. 중요한 것은 어떻게 인물을 표현하는가에서 결판이 나는데 김훈이 만든 이순신이라는 인물은 역사적 인물이면서도 지극히 김훈의 개인적인 내면의 고백이 많이 투영된 인물이기도 하다.
즉, 칼의 노래에서의 이순신은 이순신이지만 이순신이 아니기도 하다.
작가의 개인적 고민도 겹치면서 이순신이라는 인물은 그동안의 평면적인 인물에서 벗어나 조금은 복잡하고 입체적인 인물로 다가오게 된다. 하지만 이런 그의 모습은 기존의 위인전에서 보던 모습에서 벗어나 내부와 외부에 모두 적을 둔 끝없이 고민에 빠진 인물로 묘사한다. 마치 로뎅의 생각하는 인물과 같이...
여기서 다뤄지는 이순신은 끝없이 고뇌와 성찰을 이루는 근대적인 인물과도 같다. 실제 이순신도 현대의 기록의 시대의 인물과도 같이 끝없이 자기 기록을 남긴 인물이기도 했지만 이순신은 혼란의 시대에서 흐트러지지 않고 자신을 지키려고 하려는 모습을 보여준다. 마치 작가가 머릿말에서 끝없이 절박한 오류를 끌어안고 살아가듯이 말이다.
어떤 이에게는 이것은 이순신이라는 가면으로 자기 고민의 결과물을 토해낸 수기와도 같이 느껴질 수 있고 이순신은 껍데기에 지나지 않을 뿐일 수 있겠지만... 그것은 보다 짜임새있게 논쟁해야 할 것일테고 1권만 읽은 상황에서 나에게는 아주 만족스러운 책을 읽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그동안 연휴가 있었기 때문에 쉽게 읽어낼 수 있었다.
전부 읽은 다음에도 오랜만에 참 좋은 책을 읽었다는 느낌이 든다. 읽는 내내 역시나 실제 이순신과는 연관성이 없을 수 있다는 생각이다. 뭐, 완전히 창조적이지는 않겠지만 작가인 김훈의 개인적인 고민이 더 많이 녹아들지 않았을까?
나는 그렇게 생각된다.
어느부분에 가서는 두명이 팽팽한 긴장감을 갖고 말하게 되는 느낌도 들었지만 그것이 그다지 나쁘지는 않았다.
조금은 자세하게 곱씹어서 읽지 않은 것 같지만,
참 좋은 책을 만났다는 생각은 변함없다.
이번에는 조금 길~게 읽을 책을 읽고 있다.
아무래도 여름이 오면 거의 다 읽을 것 같은 책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