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칭성 인류학 - 무의식에서 발견하는 대안적 지성, 카이에 소바주 5
나카자와 신이치 지음, 김옥희 옮김 / 동아시아 / 2005년 11월
평점 :
대학을 다니던 시절에 알게 되었고 그 당시와 졸업 직후에 읽었던 카이에 소바주(야생적 사고의 산책) 시리즈는 단순히 신화/종교에 관한 논의만이 아닌 “다양한 지식의 영역을 종횡무진 넘나”드는 내용이었다. 모르고 있던 분야에 대해서 많이 알게 되는 기회였었고, 반대로 생소한 점도 많았다. 읽기가 힘들 정도는 아니었다. 저자가 무척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잘 설명해주고 있다.
네 번째 논의까지는 순서 없이 읽긴 했으나(기억이 맞다면 ‘사랑과 경제의 로고스’를 가장 먼저 읽었던 것 같다) 각각의 논의들이 안겨주는 (읽는) 재미가 좋아서 하나씩 읽어나가다가 마지막 다섯 번째 논의만 읽지 못했었다. 특별한 이유가 있는 건 아니고 그냥 빼먹은 것 같다. 간간히 이왕 읽기 시작했으니 마무리 지어야겠다는 생각을 했었는데, 그것도 그 순간만 마음 먹었다가 한동안 잊고 지내다가 이제야 긴 세월이 흐른 다음에 손에 쥐게 됐다.
“'대칭성'이라는 일관된 축을 견지하던 저자가 이를 하나의 학문(대칭성인류학)으로 자리매김하며 지적 통합을 이루어내고 있다. 시리즈 전체의 내용을 하나의 전체성으로 아우르면서 궁극적으로 인류가 회복하고 지향해야 할 '지혜'는 무엇인지 모색한다.”
이번 다섯 번째는 지금까지 다뤘던 내용들을 하나로 통합하려는 시도라 할 수 있어 복습하는 것처럼, 혹은 1권부터 4권까지의 논의를 하나로 아울러내는 내용이라 볼 수 있겠지만 그렇기 때문인지 각기 개성 강했던 이전에 비해서는 심심하다는 생각도 들었다. 그것도 그렇지만 대칭성과 불교라는 대안이 과연 알맞은지... 제대로 된 대안이라 할 수 있을지도 의문이 컸고.
“카이에 소바주를 마무리하는 제5권은 시리즈 전체의 전개에 중심적인 역할을 해온 대칭성이라는 개념을 하나의 공리계公理系(axiomatic system: 어떤 과학 영역의 근저를 이루는 근본 명제의 체계-옮긴이)로까지 발전시키기 위한 시도이다. 이 대칭성이라는 개념은 최근 1, 2년 동안 내 강의의 중심 테마를 이루어온 것인데, 사실그것은 내 사고 속에서 오랜 숙성기간을 거쳐 구체화된 것이다.”
결론에 대한 평가를 떠나서 저자의 관심과 문제의식 그리고 다양한 영역을 넘나드는 지적 모험 자체만으로도 주목해야 할 점이 많다고 생각해서 결말이 다소 아쉽지만 그래도 추천-칭찬할 점이 더 많다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