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블로이드 전쟁 - 황색 언론을 탄생시킨 세기의 살인 사건
폴 콜린스 지음, 홍한별 옮김 / 양철북 / 2013년 4월
평점 :
품절


 

제목이 눈길을 끌었고, ‘황색 언론이라는 단어도 괜히 눈에 들어와 손에 잡게 된 이 책은 제목에 비해서는 좀 더 꼼꼼하게(덜 자극적이게) 하나의 살인 사건의 처음과 끝 그리고 후일담을 써내고 있다.

 

저자의 말 그대로라면 기록에 나와 있는 그대로를 촘촘하게 재구성하려고 하고 있다.

 

“18976, 뉴욕의 한 부둣가에서 빈들거리던 아이들이 방수천에 싸인 채 바다에 떠있던 시체 토막 하나를 건진다. 비슷한 시기, 뉴욕 브롱크스 숲으로 버찌를 따러 간 가족들이 가시덤불 사이에서 심하게 썩은 한 남자의 몸통을 발견한다. 며칠 뒤, 지나가던 배에 부딪힌 시체 꾸러미를 사람들이 바다에서 건져낸다. 한편, 롱아일랜드에서는 한 농부가 자기 오리들 깃털에 무언가 이상한 것을 발견한다.

처음에 단순히 의대생들의 장난이라 여겨졌던 이 사건은, 시간이 지날수록 묘한 기운이 감지된다. 뉴욕 곳곳에서 발견된 시체 토막들이 한 사람의 것이고, 시체 조각들을 싸맨 방수천이 같고, 머리가 발견되지 않았다는 사실은, 사람들의 관심을 불러일으키기에 충분했다. 결국 뉴욕의 모든 신문들이 대대적으로 보도 경쟁에 들어가면서 이 사건은 1897년을 뜨겁게 달군, '세기의 살인 사건'이라 불릴 '이벤트'가 되고 말았다. 이 시체의 주인공은 대체 누구이며, 누가 이런 끔찍한 일을 벌인 것일까?

저자 폴 콜린스는 방대한 양의 신문 기사, 사후 수기, 인터뷰, 광고, 법원 기록 등 실제 자료를 토대로 이 충격적인 토막 살인 사건을 완벽하게 재구성했다. 사실(Fact)을 바탕으로, 하나도 덧붙임 없이 흥미진진한 법정 추리 소설(Fiction) 같은 작품을 탄생시켰다.”

 

저자는 어떤 재미나 흥미를 일부러 만들어내려고 하진 않고 있다. 방대한 자료를 잘 이어붙이고 있고, 그걸 토대로 살인 사건을 최대한 자세히 들여다보려고 하고 있다. 진실을 찾아내려고 노력하기도 하고.

 

어떤 구경거리로만 다루려고 하지 않고 있어 한편으로는 읽을 재미가 조금은 부족할 수 있기도 하다. 반대로 다양한 자료로 어떤 식으로 사건을 살펴볼 수 있을지 알 수 있기도 하고. 다만, 제목처럼 황색 언론이 얼마나 난리법석을 만드는지는 그렇게 크게 부풀려지진 않고 있다. 내용의 초반 부분만 집중적으로 활약하고 있을 뿐이다. 분명 이 살인 사건에서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고는 있지만 그걸 너무 부각시키지 않고, 다른 구성들 또한 충분하게 다뤄내고 있어 언론에 대한 잘못된 모습만이 다뤄지는 책으로 읽는다면 잘 읽혀지지 않을 것 같다.

 

물론, 처음과 끝에서는 “<뉴욕 월드>의 퓰리처와 <뉴욕 저널>의 허스트가 벌인 선정적인 취재 경쟁진지하게 언급하고 있긴 하지만 그것만 생각하며 읽을 순 없을 것 같다. 오히려 일종의 법정물 혹은 수사물로 읽는 게 알맞을 것 같다.

 

이 책을 관통하는 핵심은 인간의 욕망이다. 작가 폴 콜린스가 끌어가는 이야기는 크게 두 가지 줄기로 볼 수 있는데, 하나는 과도한 취재 경쟁에 빠진 <월드><저널>의 보도 경쟁이고, 또 하나는 한 여자와 그녀의 전남편, 전애인, 현재 애인을 둘러싸고 벌어진 치정 살인에 대한 이야기이다. 이 두 가지 이야기의 공통점은 추악한 인간의 욕망이 날것 그대로 드러난다는 점이다. 판매 부수를 높이기 위해서라면 기삿거리를 만들어서라도 쓰고자 했던 언론의 욕심과 남의 불행을 구경하는 데라면 사족을 못 쓰는 사람들의 심리, 자신의 위기 앞에서는 사랑도 버리는 인간의 욕망, 목숨이 위협 받는 상황에서는 친구의 믿음도 버리는 인간의 배신, 돈벌이라면 자기의 불행도 팔 수 있다는 인간의 추악함이 고스란히 드러나 있다.

이 사건은 머리가 없어 신원 확인이 불가능했던 시체를 두고, 처음에는 이 시체의 주인은 누구인가?”로 공방을 벌였지만, 나중에는 공범인가, 단독범인가? 단독범이면 범인은 누구인가?”의 문제로 논쟁이 번졌다. 이 과정에서 드러난 인간의 광기, 자기 방어, 자기변명, 잔인함, 음모, 배신 등의 욕망은 처절하다 못해 소름이 돋는다. 100년도 넘은 이 사건이 여전히 우리에게 유효한 이유는 바로 이런 인간의 마음 속 깊은 곳에 감춰진 욕망을 읽을 수 있기 때문일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