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무신론자를 위한 종교
알랭 드 보통 지음, 박중서 옮김 / 청미래 / 2011년 9월
평점 :
알랭 드 보통은 무얼 다루든 잘 정리해내는 재주가 있는 것 같다. 종교에 관한 이 책도 “종교란 하늘나라에서 인간에게 내려준 것이거나 아니면 완전히 엉터리에 불과한 것이라는 이분법적 사고를 버릴 때에 우리가 갈 수 있는 길이 열린다고. 그리고 무신론자들을 향해서 기존의 종교가 가진 미덕들과 제도들은 여전히 가치가 있고 유용하고 위안이 되기 때문에, 무신론자들 각자는 자신의 '신전'을 세우고 그 속에서 사랑, 믿음, 관용, 정의, 절제 등의 미덕을 배우고 실천”하게 된다면 쓸모없게 생각되던 종교 또한 어떤 쓰임이 있을 것이라고 어느 정도 설득력과 공감을 하게 해주고 있다.
제목부터 어떤 내용을 다룰지 쉽게 예상할 수 있을 것이고, 그 예상을 벗어나지 않게 논의를 풀어내고 있다. 그는 일종의 재활용 혹은 재건을 말하고 있고 종교가 갖고 있는 효용성에 대해서 최대한 좋은 방식으로 살펴보고 있으면서 지금을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종교의 쓸모와 어떤 방식으로 써먹을 것인지 함께 생각해보길 권하고 있다.
그런 점에서는 일종의 실용주의에 관한 책인지도 모르겠다.
기본적으로는 기독교를 중심으로 다루지만 유대교나 불교 등등도 간간히 살펴보고는 있다. 하지만 어떤 종교를 말하든 긍정성(만)을 부각시키고 있어 과연 무신론자들에게 얼마나 설득이 될 수 있을지는 의문이 든다.
오히려 종교를 잃지 않은 사람들에게, 믿는 신이 있는 사람들이 더 흥미롭게 읽진 않을까?
어떤 입장에서 읽게 되든 알랭 드 보통의 논의를 살펴보며 각자의 종교에 대한 입장을 천천히 가다듬는 것도 좋을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