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이코패스 테스트 - 광기의 심연을 가로지르는 기상천외한 모험
존 론슨 지음, 차백만 옮김 / 라이프맵 / 2011년 11월
평점 :
절판
책을 펼쳐보지도 않고 제목만 보고 구입을 했기 때문에 당연히 인문학 혹은 정신의학 관련 내용이리라 생각했다. 물론, 아주 틀린 건 아니지만 이런 내용으로 꾸며져 있으리라 생각하진 않았다. 그런 점에서는 무척 당황스러운 기분으로 읽게 됐다.
저자 존 론슨은 “‘곤조 저널리즘(gonzo journalism 취재대상에 적극 개입, 1인칭 시점으로 기사를 서술하는 방식)’ 스타일로 유명한 논픽션 작가”고 사실을 기반으로 써낸 이 소설(이라고 말해야 할 것인지 달리 말해야 할 것인지 머뭇거려진다)은 흥미롭게 읽을 순 있었지만 어디서부터 어디까지가 사실이고 창작인지 그 구분이 모호해 조금은 조심스럽게 들여다보게 된다.
수수께끼로 시작해서 사이코패스에 관해서, 인간의 광기를 자세히 살펴보면서 “광기산업”과 사회 지배층에서 찾게 되는 사이코패스 성향까지 사이코패스라는 딱지가 붙여질 수 있는 다양한 사례를 살펴보고 있는 이 책은 미치광이를 판단하는 역사를 살펴봄과 동시에 과연 정상이란 무엇이고 비정상이란 무엇인지 고민하고 있다. 또한, 비정상이 어떤 식으로 돈벌이가 되는지도 살펴보고 있고.
얼핏 미셸 푸코의 “광기의 역사”가 떠올려지기도 하지만 그런 야심만만한 책은 아니고 흥미진진한 추적기라 할 수 있을 것 같다. 재미나게만 읽을 순 없어도 읽기 시작하면 속도를 내서 뒤따라가게 만드는 매력이 있으니 사이코패스를 그리고 정상과 비정상에 대해서 조금이라도 관심이 있다면 아주 실망스럽진 않을 것 같다.
“때로는 광기를 조장하는 산업을 이끌어가는 이들이 보여주는 집착과 충동이야말로 그들이 연구하는 사이코패스들만큼이나 미쳐있다는 점이었다. 나아가 오늘날 우리 사회가 비교적 제정신인 사람들마저 점차 그들의 가장 극단적인 행동으로 그들의 광기를 규정한다는 점을 발견한다. 정상을 가장하고 우리 안에 숨어있는 사이코패스들의 실체, 그리고 일상성이 광기로 정의되는 폭력의 메카니즘. 한 피스 한 피스 직소퍼즐을 맞춰나가듯 진행되는 론슨의 여정을 따라가다 보면, 은밀하게 세상을 움직이고 있는 광기의 본질에 근접할 수 있다.”
여러 내용들 중에서 위와 같은 부분들이 특히 관심을 가며 읽게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