따뜻한 인간의 탄생 - 체온의 진화사
한스 이저맨 지음, 이경식 옮김, 박한선 해제 / 머스트리드북 / 2021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간의 체온을 진화심리학으로 그리고 인문학 시선으로 흥미롭게 살펴보고 있는 따뜻한 인간의 탄생은 접하지 못해왔던 분야고 주제라 관심이 들어 읽기는 했지만 가볍게 읽을 내용은 아니었다. 그래도 여러 학문 분야가 걸쳐져 있어서 이것저것 모르던 것들을 알게 되는 재미는 컸다. 이제 막 주목받고 있는 연구 분야니 앞으로 어떤 식으로 발전할지를 생각해가며 읽는 것도 괜찮을 것 같다.

 

인류는 오랜 진화사를 통해 다양한 기후 환경에 적응해왔다. 어떤 의미에서 인류 진화사는 체온 조절을 위한 기나긴 여정이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직립 보행을 하고, 털이 없어지고, 뇌 크기가 커지는 신체적 진화. 불을 사용하고, 옷을 만들어 입고, 집을 지어 사는 정신적 진화. 다른 사람과 부대끼며 교류하는 사회적 진화인류의 수많은 변화가 바로 체온 조절을 위한 선택압에서 유발되었다.

사회심리학자 한스 이저맨은 인간은 체온을 따뜻하게 유지하기 위해 오랫동안 서로에게 의존해왔으며, 이런 사회적 체온 조절 본능은 사회와 문화를 형성하고 지탱하는 버팀목이 되었다는 해석을 내놓는다. 그는 진화론적 관점에서 체온 조절이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을 다각도로 탐색하여 감정, 관계, 건강, 언어, 심지어 집을 잘 파는 능력까지 얼마나 많은 것이 주변 온도에 또 체온에 따라 달라지는지 보여준다. 거의 모든 것이 디지털로 연결되어 물리적 접촉이 사라져가는 시대에 인간이라는 종의 본성에 대한 긍정적이고 놀라운 메시지를 던진다.”

 

이론적인 내용으로 시작해서 다양한 사례들이 이어지는 방식으로 내용이 꾸며진 이 책은 기본적으로 체온에 대해서 좀 더 넓은 범위로 이해하려고 하고 있다. 사회 문화적인 관점으로 파악하려고 하고 있고, 그런 입장 속에서 사회적 온도라는 논의를 꺼내고 있다. 그런 의미에서 과학으로 시작해서 인문학으로 향하고 있다고 해야 할까? 책에서 자주 언급되고 있는 펭귄처럼 단순히 생명 유지를 넘어서 사회적 존재로서 그리고 긴밀한 유대-관계를 통해서 어떤 식으로 사회적 온도가 작동하는지를 실험해보고 살펴보려고 하고 있다.

 

인간도 펭귄처럼 사회적 체온 조절 수단을 활용한다. 체온 조절에 대한 갈망은 펭귄 사회에서나 인간 사회에서 모두 사회적 행동의 추동력이다. 인간의 경우 체온 조절의 절박함은 따뜻한 사람과 함께 있고 싶다는 열망, 따돌림을 당해 쓸쓸하게 버림받고 싶지 않다는 열망을 낳는다. 생물학적 진화 과정에서 발달한 신체 내부 체계들 덕분에 뛰어난 활동성을 자랑하는 인간은 체온 조절을 위해 다양한 사회적 행동을 펼칠 수 있다. 이런 사회적 행동은 문화와 사회가 진화하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많은 유기체가 주변 온도 변화를 감지하고 여기에 대응하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 인간은 온도 변화를 감지하고 대응할 뿐 아니라 사전에 변화를 예측하고 거기에 대비할 수 있다. 이런 예측 능력은 사람들 사이 사회적 체온 조절에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사회와 문화의 성격에도 작용할 수 있다.”

 

그 누구도 없이 홀로 살아갈 수 없는 우리들에게 이 책은 관계망 속에서 살아가는 것의 중요성과 의미를 과학적으로 다루고 있다고 볼 수 있을 것 같다. 여러 연구 영역을 넘나들고 있고 별의별 실험 끝에 어떻게 본다면 익숙한-당연한 결론을 도출한다고 말할 수도 있겠지만 그렇기 때문에 좀 더 의미심장하게 생각할 필요도 있을 것 같다.

 

이제 막 활발한 연구가 이뤄지고 있어서 좀 더 주목하게 될 연구들이 계속 이어질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