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모 루덴스 - 놀이하는 인간, 개정판
요한 하위징아 지음, 이종인 옮김 / 연암서가 / 2018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참고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838403&cid=42044&categoryId=42044

참고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63567&cid=40942&categoryId=31611

 

 

 

 

호모 루덴스

 

중세의 가을이 제목부터 인상적이었고, ‘호모 루덴스또한 왠지 읽어야 할 것 같다는 생각을 하게 되는 제목이었다. 그런 기분으로 읽었고, 흥미로운 입장이고 논의였던 것은 기억나지만 읽었던 내용 대부분을 까먹어서인지 다시 읽어보고 싶은 마음에 펼치게 됐다. 기억나는 게 없어서 다시 읽기 보다는 처음 읽는다는 말이 맞을 것 같고.

 

놀이

 

중세의 가을이 워낙 알려져 있지만 요즘에는 오히려 이 책으로 더 많이 언급되는 것 같은 요한 하위징아는 우리들이 그동안 주목하지 않았던 놀이라는 것에 대해서 관심을 기울이며 인간에게 놀이라는 것이 어떤 의미가 있는지를 세밀하게 파고들려고 하고 있다.

 

모든 문화 현상의 기원을 놀이에 두고 예술사와 종교사 등 인류 문명에 관한 다양한 지식을 동원하여 인류의 문화를 놀이적 관점에서 고찰한 책으로 저자는 놀이에 따르고, 놀이에 승복하며, 놀이를 제대로 이해하는 것이야말로 인간 문명을 빛나게 한다고 주장한다.

생로병사와 관련된 모든 삶의 통과 의례였던 고대인들의 제의는 음악과 춤과 놀이로 이루어졌는데, 인간의 몸과 영혼을 동원해서 사물을 표현하려는 자연스러운 욕구에서 발생한 놀이는 새로운 것을 만들어내는 창조의 원동력이 된다고 진단한다.”

 

이런 식의 입장 속에서 놀이를 다시 정의하고 문화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그 특징과 특별함, 그리고 다양한 영역에서 어떻게 놀이의 요소를 찾을 수 있는지 등 놀이를 통해서 수많은 것들을 샅샅이 살펴보고 있다.

 

고대 사람들은 모든 인간의 행위를 놀이로 부르며 그것을 지혜로 여겼다. 일부 사람들은 놀이를 천박하다고 생각하지만 놀이 개념은 이 세상의 생활과 행위에서 분명 중요한 요소로 작용해 왔다. 우리 문명은 놀이 속에서 생겨나고, 놀이로서 발전해 왔다. 이 책을 통해 저자는 놀이 개념을 문화의 개념과 통합시키려고 한다. 근래 이전에는 놀이와 문화가 서로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는 사실이 관찰되거나 표현되지 않았다. 저자는 여러 문화 현상들 속에 얼마만큼 놀이의 특성이 담겨 있는지 탐구하고 있으며, 진정하고 순수한 놀이가 문명의 주된 기반들 중 하나임을 증명하려는 것이다. 진정한 문명은 특정 놀이 요소가 없는 곳에서는 존재할 수 없다.

인간 사회의 중요한 원형적 행위들언어, 신화, 의례, 법률, 사냥, 전쟁, 종교, 시가(詩歌), 철학, 예술 등은 처음부터 놀이의 요소가 가미되어 있었다. 언어에서 은유는 말을 가지고 하는 놀이이며, 신화에서 상상력이 빚은 환상적인 정신은 농담(놀이)과 진담(진지함)의 경계선을 무시로 넘나든다. 신비 의례, 희생제의 같은 원시 사회의 예식은 순수한 놀이 정신의 구체화이다. 문명사회의 위대한 본능적 힘인 법과 질서, 상업과 이익, 기술과 예술, 시가, 지혜, 과학 등은 놀이라는 원초적 토양에서 자양을 얻는다.”

 

하지만 이런 놀이가 점점 사회가 발전하고 변화하면서 심각한 문제가 생겨나고 있다고 진단하기도 한다.

 

즐거움과 흥겨움을 동반하는 가장 자유롭고 해방된 활동, 삶의 재미를 적극적으로 추구하는 활동인 놀이가 법률, 문학, 예술, 종교, 철학을 탄생시키는 데 깊은 영향을 끼쳤다고 보는 저자는 현대에 이르러서 일과 놀이가 분리되고, 단순히 놀기 위한 놀이는 퇴폐적인 것으로 변질되었다며 고대의 신성하고 삶이 충만한 놀이 정신의 회복을 바란다. 그는 놀이에 따르고, 놀이에 승복하며, 놀이를 제대로 이해하는 것이야말로 인간 문명을 빛나게 한다고 말한다.”

 

놀이라는 것에 대해서 그리 깊게 생각해본 적이 없었던 이들에게 무척 흥미로운 논의를 제시하고 있는 이 책이 꾸준하게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리는 이유는 저자의 논의에 동의하든 그렇지 않든 조금이나마 공감하게 되는 부분이 있어서이진 않을까?

 

다시 읽었어도 아주 잘 이해했다 말할 순 없겠지만 그래도 여전히 인상적이고 흥미롭다 할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