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판 붙자, 맞춤법! - 현장 실무자를 위한 어문규범의 이해 ㅣ 뿌리와이파리 한글날
변정수 지음 / 뿌리와이파리 / 2019년 9월
평점 :
조금은 싸구려 느낌의 제목 때문에 살짝 읽기가 꺼려질 순 있어도 실제로 읽게 된다면 알기 쉽게 어문규범에 대해서 설명해주고 있다는 것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충실하면서도 술술 읽혀져 나중에도 다시 펼쳐볼 수 있게 잘 보관하고 싶어지게 된다.
누구나 마찬가지겠지만 “평소 메신저나 SNS 등에서 편한 문자 생활을 하다가 '각 잡고' 글을 쓸 일이 생기면, 가장 신경 쓰이는 것이 맞춤법이다.” 읽을 때는 고민되지 않지만 직접 쓰려고 하면 난감하고 뭐가 맞는지 헷갈리기 마련이다. 저자는 그런 “독자들이 어문 규범의 압박에서 벗어나 자유로워”질 수 있도록 한다. “편협한 표준어 중심주의, 완고한 규범주의에서 벗어나 "의사 전달의 효율성"과 "표현의 적절성"에 집중하자고 주장”하고 있고. “규범들을 설명하며 "무조건 지켜야 돼"라고 주장하지 않고, "규범이 왜 이럴까?"를 살”펴보고 있다. 그러니 “이 책은 '맞춤법을 알려주는 책'이기보단 '맞춤법에 대한 책'이라는 설명이” 알맞을 것이다.
“100회 넘게 진행된, 편집자 대상의 맞춤법 교육을 갈무리한 내용”이기 때문에 쉽게 읽힌다는 장점이 있지만 어문규범에 대해서 전혀 모르고 있었기 때문에 아주 수월하게 읽혀지진 않았다. 그래도 맞춤법에 대해서, 글을 쓰려고 할 때 이것저것 신경 쓰이는 부분들을 잘 짚어주고 있어 부담이 조금은 덜어지게 된다. 하지만 그렇다고 내 멋대로 하겠다는 생각은 들지 않는다. 무작정 편해지는 것이 아닌 어느 정도의 주관이 필요함 또한 느끼게 된다. 어쨌든, “‘규범이 이러저러하게 규정하고는 있지만, 그 취지를 이해한다면 지나치게 주눅들 필요가 없다’”는 것을 잘 설명해주고 이해시켜주고 있다.
“글을 쓰거나 특히나 책을 만드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크건 작건 어문규범의 막연한 압박을 받으며 까다로운 문법 용어가 난무하는 일방적인 규정에 주눅이 들게 마련이다. 하지만 이 책은 그럴 필요가 전혀 없다고 주장하면서, 한국어 문법에 대한 이론적 전문지식을 갖추지 않은 일반인의 눈높이에서 그 까닭을 차근차근 설명해”주고 있으니 글쓰기에 관해서 조금이라도 관심이 있다면 읽어볼만 할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