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독감 ㅣ 메디컬 사이언스 2
지나 콜라타 지음, 안정희 옮김 / 사이언스북스 / 2003년 12월
평점 :
참고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235661&cid=40942&categoryId=32799
참고 : https://namu.wiki/w/%EC%8A%A4%ED%8E%98%EC%9D%B8%20%EB%8F%85%EA%B0%90
처음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가 퍼지기 시작했을 때, 이렇게까지 상황이 나빠지리라 생각한 사람이 얼마나 될까? 그렇게 많진 않았을 것 같다. 전혀 예상하지 못한 사람이 대부분일 것이다. 다들 적당히 시끄럽다가 대충 수습되리라 생각했을 것이다. 이런 세상이 되리라 누가 생각했을까? 종식의 가능성이 보이지 않는 지금과 같은 상황 때문에 가장 심각한 독감이라 알려진 1918년 독감(흔히 스페인 독감이라고 불리는)이 생각나게 됐고, 그걸 자세히 다룬 이 책을 어쩌다 알게 됐다.
“1918년 독감은 더 심해서 전 세계에서 2000만 내지 1억 명의 사람들이 죽었다. 이 책은 바로, 1918년 독감에 의혹을 느낀 지은이가 당시 독감의 전염 경로 및 독감 바이러스의 정체를 밝히기 위해 집필한 것이다. 과학적 발견 과정을 추리소설처럼 속도감 있는 문체로 서술한 점이 특징”이다. “이 독감 미스터리에 매료된 많은 과학자들이 백신 개발에 나섰는데, 지은이는 이들의 발자취를 마치 곁에서 지켜보듯 생생하게 전한다.”
술술 읽히고 재미있다는 점이 장점이다. 그러면서도 1918년 독감에 대해서 자세히 살펴보고 있고. 의학에 관해서 아는 것이 없는 사람도 어렵지 않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해주고 있다. 1918년 독감에 대한 미스터리한 부분을 자세히 들춰보고 그걸 밝혀내려는 사람들의 노력을 흥미진진하게 알려주고 있다.
1918년 독감을 아주 상세하게 살펴보고 있다. 모든 것이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는다는 어쩔 수 없는 불편함도 안겨 주지만 이것만큼 재미나게 독감에 대해 알아보고 있는 책은 많지 않을 것 같다.
지금과 같은 시대이기 때문인지 적당하게 만족하며 읽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