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철도 여행의 역사 - 철도는 시간과 공간을 어떻게 변화시켰는가
볼프강 쉬벨부쉬 지음, 박진희 옮김 / 궁리 / 1999년 12월
평점 :
품절
다른 책의 참고문헌을 확인하던 중 알게 된 ‘철도 여행의 역사’는 그 제목부터 호기심을 끌었고 어떤 내용일지 (섣불리) 예상했지만 그걸 뛰어 넘어 생각 이상으로 알찬 내용이었고 다채로운 방식으로 철도의 등장이 어떤 변화를 만들어냈는지를 상세하게 들여다보고 있다. 뛰어나고 놀라웠다. 이렇게까지 여러 방식으로 살펴볼 수 있다는 것에 감탄만 하게 된다.
“19세기에 일어난 가장 혁명적인 사건 가운데 하나”고 “산업혁명을 탄생시키고 진전시켰을 뿐만 아니라 사람들의 일상적인 체험 공간도 변화”시킨 철도-열차에 대해 “문학, 기술, 경제, 의학 등 다방면에 걸친 철도의 영향을 깊이 있게 검토”하고 있고 “새로운 기술이 일상에 어떤 영향들을” 미치고 있는지 자세하게 파고들고 깊이 있게 살펴보며 다양하게 바라볼 수 있도록 해줘 여러 가지로 탄복하게 된다.
저자는 우선 어떤 식으로 기계화가 진행되었고 철도의 필요성과 우수성을 살펴보고 있다. 국가별로 다른 식이었지만 결국 철도를 어떻게 받아들이고 이용하게 되었는지를 확인하고 일상 속에 들어오는 과정을 알아본다. 철도가 이전의 교통로와 교통수단과 어떤 근본적인 차이와 변화 그리고 도약이 있었는지 알아보고 기술적인 측면에 대해서도 알아본 다음 철도의 이용을 극대화하기 위해 자연을 어떤 식으로 재배치(파괴)하는지를 따져보고 철도의 이용으로 인한 공간과 시간에 대한 인식의 변화에 대해 다루고 있다.
공간-시간에 대해서는 평소에도 관심이 많아 좀 더 관심을 갖고 읽게 해주고 저자 또한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지 무척 상세하게 다루고 있다. 발터 벤야민을 인용하고 보론을 통해 좀 더 확장시켜 산업 혁명기에 대해서 그리고 미술의 영역까지 살펴보며 철도와 유리 건축이 어떤 거대한 변화를 이끌었는지 설득력 있게 이해시키고 있다.
공간-시간에 대한 이해와 인식의 변화를 살펴본 다음 여행을 하는 이들이 철도의 이용을 통해 어떤 식으로 변화가 생겼는지를 알아본다. 풍광을 받아들이는 방식을 중심으로 열차 내에서 바깥-외부를 바라볼 때 열차의 속도로 인해 이전과는 전혀 다른 방식으로 바깥-외부를 바라보고 풍경을 즐기게 해주거나 아예 그것에서 눈을 돌려 독서를 하게 된 과정을 충분히 이해 가능하도록 설명해준다.
그런 다음 관심을 객차로 눈을 돌려 계급 구분이 철저한 유럽식의 객차와 미국식의 객차를 비교함으로써 사회-문화적 차이가 어떤 식으로 객차의 구성과 이용 방식의 차이를 만들고 있는지 알아보고 철도 노선을 계획할 때는 양쪽의 다름을 어떤 식으로 확인할 수 있는지 알려주고 있다.
여기까지는 철도에 대해 이것저것 자세하게 살펴보게 해준다고 할 수 있지만 7장부터는 아예 생각지도 못한 부분까지 다루고 있어 읽으면서 무척 감탄하며 책을 넘기게 됐다. 우선 철도의 등장을 통해 병리학 영역에서는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 알아봄과 동시에 마르크스(맑스)의 자본주의에 대한 이해와 철도의 이용이 어떤 식으로 맞물려질 수 있는지 고민한 부분은 무척 많은 생각을 갖게 해준다. 또한 철도 사고를 프로이트의 정신분석과 연결해서 다루는 내용과 신체적 정신적 외상을 정신분석을 통해 어떤 식으로까지 이해할 수 있고 미셸 푸코를 인용하며 “산업 혁명으로 발생한 질적으로 새로운 현상들이 결국에는 사람들의 본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더 이상 부인할 수 없”다는 것에 동의하고 있음을 그리고 그걸 좀 더 자세하게 들여다보려는 의도를 알 수 있게 해준다.
심리적인 변화에 대해 좀 더 자세히 파고들며 프로이트의 논의를 상세히 살펴보고 있으며 어떻게 긴밀하게 연결해 생각해볼 수 있을지 따져보고 있고 철도와 열차의 등장을 노르베르트 엘리아스의 문명화 과정에 어떻게 관련지어 생각해볼 수 있을지도 고민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철도와 열차가 근대적 도시의 구성-형성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알아보며 철도와 열차의 등장이 어떤 수많은 영역에 변화를 만들었고 관련되었는지 충분히 납득할 수 있도록 이해키시고 있다.
1970년대에 출판된 책이고 국내에는 번역-출판한지 20년이 지났지만 여전히 생각해볼만한 내용으로 가득하고 새로운 무언가의 등장이 어떤 식으로 어디까지 변화를 만들어내는지 좀 더 넓은 시야에서 생각해보도록 해주게 한다.
사회 변화에 대해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꼼꼼하게 읽어보길 권하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