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국의 연쇄살인 - 희대의 살인마에 대한 범죄 수사와 심리 분석
표창원 지음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05년 6월
평점 :
품절
엽기적이라는 표현도 상상을 초월한다는 말도 어울리지 않다고 생각될 정도로 잔혹한 살인이 자주 일어나고 있다. 그 이유는 복합적일 것이고 한 개인의 잘못도 있겠지만 사회적인 문제로 생각해야 할 필요성도 느끼게 된다.
그런 생각이 들어 읽게 된 ‘한국의 연쇄살인’은 제목 그대로 한국에서 일어난 연쇄살인을 시간 순으로, 일종의 연대기처럼 정리하고 있다. 저자는 지금은 정치인으로 활동하고 있지만 전에는 시사 프로그램 ‘그것이 알고 싶다’ 등 TV에서 잔혹 살인이나 기묘한 사망 사건에 관해 전문가로서 의견을 제시하며 이름을 알리기 시작했고 이 책도 그동안 연구하던 내용을 정리하는 의미로 쓰였으리라 생각된다.
국내에서 일어난 사건들에 관해 내용을 정리한 책이라 비슷한 유형의 책인 ‘사이코패스는 일상의 그늘에 숨어 지낸다’와 비교하고 싶지만 다루는 영역이 다르다 할 수 있고 다루는 방식도 ‘사이코...’는 저자가 실제로 겪은 이들을 자세히 다뤘다면 ‘한국의...’는 연쇄살인에 한정해 지금까지 일어났던 사건들을 하나씩 살펴보고 있다.
이 책의 특징은 우선 한 개인의 잘못이나 일탈처럼 연쇄살인을 다루지 않고 좀 더 사회적인 문제로서 바라보려고 하고 있다는 점과 그런 의미에서 사건이 일어난 그 당시의 사회가 어떤 분위기였는지를 주목하고 있다. 그런 시각에 대해서 찬반이 있겠지만 개인적으로는 그래야 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인상적이었다. 또한 경찰 출신이기 때문에 당시 내부적인 사정과 분위기는 어땠는지 그리고 여론은 어떤 식으로 관심이 혹은 분노가 일어났는지를 잘 알려주고 있고 단순히 어떻게 종결됐는지로 끝내는 것이 아닌 교훈과 아쉬운 점 그리고 개선점에 대해서 의견도 내놓는 점이 특색이었다.
저자는 연쇄살인에 대해 한국에 맞게 나름의 정의를 내리고 있고 그런 정의에 적용할 수 있는 사건들을 다루고 있고 연쇄살인범은 어떤 요인에 의해서 되는가를 간단히 살펴본 후 한국 최초라 할 수 있는 연쇄살인과 일제강점기 시절의 잔혹한 살인을 다룬 다음 본격적으로 한국에서 일어난 연쇄살인을 시기 순으로 들여다본다.
197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 10년 단위로 살펴보면서 어떤 시대였으며 어떤 연쇄살인이 일어났는지 시대와 사건을 겹쳐보려 하고 있고 사건이 어떤 식으로 일어났고 어떻게 마무리 됐는지 문제점과 개선점은 뭔지 알아보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고 미해결 사건을 다룰 때는 미흡한 점이 뭐였는지 만약 범인을 찾게 된다면 어떤 유형일지를 추측하고 있다.
한국에서 이런 사건들이 있었나? 라는 생각을 하면서 읽었고 저자가 생각하는 걱정스러운 부분이나 개선이 필요한 점이 아직도 여전하다는 생각에 불안감을 느끼기도 하면서 읽게 됐다.
다시는 이런 사건이 일어나지 말아야 하겠지만 그러기는 쉽지 않으니 원론적이라 하겠지만 저자가 내놓는 일상 속에서 우리가 할 수 있는 조그만 실천들이 필요하다는 말에 그런 거라도 노력해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