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터 벤야민과 아케이드 프로젝트
수잔 벅 모스 지음, 김정아 옮김 / 문학동네 / 2004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참고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169337&cid=50854&categoryId=51041

 

 

 

수잔 벅 모스의 정성으로 가득한 발터 벤야민과 아케이드 프로젝트는 발터 벤야민의 생애와 죽기 직전까지 붙들고 있었던 아케이드 프로젝트에 대해서 그리고 그의 사유 전반에 관해 (그나마) 알기 쉽게 설명해주고 있고 깊이 있게 다루고 있다. 이보다 더 발터 벤야민을 잘 알 수 있도록 해주는 책은 (아마도) 흔하지 않을 것 같다.

 

뒤쪽에 모여 있는 두꺼운 두께의 후주 때문에 계속 앞뒤를 뒤적거리며 읽게 해 불편함 많지만 자세한 내용이 많아 번거로움 있어도 찾아보게 해주고 있고 이어지는 옮긴이의 말은 벤야민에 대해 짧은 분량이지만 어떤 식으로 평가해야 할 것인지 간략하게 잘 정리해주고 있다.

 

발터 벤야민

 

벤야민은 그가 속해있던 (혹은 이단아 취급받던) 프랑크푸르트 학파-비판이론의 주변부에 있던 존재였지만 이제는 주목되지 않고 잊어지고 있는 아도르노, 호르크하이머, 하버마스 등과 달리 언제부터인가 점점 더 높은 평가와 관심을 받기 시작했고 주목의 대상이 되었다. 문화 이론을 공부하면 자주 접하는 이름이 되었고 아케이드 프로젝트말고도 기술복제시대의 예술작품’, ‘일반통행로’, ‘역사의 개념에 대하여등은 점점 더 필수로 읽어야 할 글이 되고 있다. 아마도 발표 당시로서는 너무 앞서나간 논의였거나 이해되기 보다는 오해되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일 것이고 그가 주목한 것들이 이제야 다른 학자들에게도 관심의 대상이 되었기 때문인지도 모른다.

 

/ 앎의 변증법이라는 부제를 달은 이 책은 벤야민의 삶과 죽음 그리고 그가 어떤 연구를 했었는지 두루 살펴보고 있고 그 중심에는 파리와 아케이드 프로젝트 혹은 파사젠베르크로 불리는 끝내지 못한 결정적 작업에 집중하고 있다.

 

아케이드 프로젝트 혹은 파사젠베르크

 

끝내지 못한 (혹은 끝낼 수 없는) 연구로 널리 알려진 벤야민이 죽기 직전까지 매달리고 있던(혹은 목숨보다 더 중요했던) 연구인 아케이드 프로젝트는 결국 완성되지 못하고 수많은 쪽글과 개요 그리고 인용문으로 가득한 글로() 남겨져 있을 뿐이고 수많은 해석자들이 관심을 보였지만 그 난해함과 정리될 수 없음에 부분적으로만 파악되고 있는 글모음이다.

 

만약에 제대로 책으로 완성이 되었다면 어땠을까? 라는 상상을 항상 하게 만드는 미완성의 걸작에 대해서 저자는 벤야민의 생애와 그가 머물렀던 파리라는 공간 그리고 그의 어려움 가득했던(불우하고 쉽게 이해받지 못한) 연구 과정을 함께 들여다보면서 어떤 생각과 고민이 있었는지 남겨진 온갖 글들을 살펴보며 추측하고 정리해보고 있다.

 

파악하기가 어려워 난해함으로 악명 높은 벤야민의 연구를 (최대한) 알기 쉽게 설명해주고 있고 벤야민에 대한 여러 논의들을 잘 분류해 어느 한쪽에 치우쳐 설명하지 않고 생존 당시의 파리와 유럽을 상세히 설명해줘 벤야민이 어떤 세상에서 어떤 고민을 했을지 함께 고민해볼 수 있도록 해주고 있다. 이 책만으로 벤야민에 대해 모든 것을 알게 해주진 못하겠지만 이 책을 읽고 조금은 벤야민을 알려는 시도를 해볼 수 있도록 해주고 있다. 그것만으로도 대단한 책이다.

 

그리고 더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점을 말해보라면 저자는 최선을 다해 학계 해석학의 관습을 피하려 했고 대학 교수만 다니는 케케묵은 통로로 벤야민에게 향하지 않게 해줘 더 유연하고 흥미롭게 벤야민을 알 수 있도록 해준다는 점이다. “학문적 컬트의 세계에 입문한 사람만이 알아들을 수 있는 전문용어를 최대한 피하며 언뜻 들었을 수 있고 조금은 관심이 갔던 벤야민에 대해 한번쯤은 읽어보도록 알아보도록 해주고 있다는 점에서 무척 특별한 책이라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저자 말대로 벤야민은 지금 대표적인 컬트’”고 그래서 너도나도 벤야민에 눈길이 가지만 그런 누군가가 추켜세우는 이가 아닌 산책을 하며 도시를 그리고 시대를 생각해보던 벤야민과 그의 고민을 함께 해볼 수 있도록 해주는 내용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