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읽는 소리 - 옛 글 속에 떠오르는 옛 사람의 내면 풍경
정민 지음 / 마음산책 / 200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 읽는 소리는 저자가 비슷한 내용을 다룬 다른 책들처럼 옛 글 중 깊이 곱씹어보고 한 번 더 생각해볼 글을 모아 놓고 있다. 내용에서 별 차이 없는 저자의 다른 책들을 이미 꽤 읽었기 때문에 자칫 지루하게 읽혀질 수 있겠다는 생각도 들었지만 저자의 글 솜씨가 워낙 훌륭해 그런 느낌 없이 옛 글을 통해서 여러 생각들을 해보게 해주고 있다. 계속해서 일정 수준 이상의 글쓰기를 보여준다.

 

비슷한 논의를 한 다른 책들과 조금은 다른 점을 찾으라면 전체 3부로 나눠진 내용 중 3부에서 중국과 한국의 옛 글만이 아닌 일본의 옛 글도 다루고 있다는 점이 특색이고 저자 개인 느끼는 현재 연구 풍토의 답답함과 여러 문제점 등 개인적인 생각을 솔직히 꺼내놓고 있다는 점에서 이색적이었다.

 

1, 2부에서는 저자가 다른 책들에서 이미 조금씩은 논의했던 내용들을 조금은 달리 다루고 있다. 옛 사람들이 어떤 식으로 책을 읽었으며 책을 읽으며 무슨 생각을 했고 그들이 읽고 생각하는 과정을 알아본 후 지금 우리가 놓치고 있는 것들이 무엇인지를 따져보는 1부에서는 책과 관련된 여러 이야기들과 독특한 사연들을 알려줌과 동시에 어째서 그렇게 책에 미쳐있었는지를 두루 살펴보고 있다.

 

2부에서는 옛 사람들이 남긴 글을 통해서 어떤 마음가짐과 내면을 갖고 있었는지, 옛 사람들이 살아가며 겪었던 여러 시시콜콜한 이야기들과 함께 눈물짓게 하는 이야기들을 갖고 어떤 것들을 생각해볼 수 있을지를 고민해보는 내용으로 채워져 있다.

 

마지막 3부는 앞서 언급했듯 옛 글을 지금의 삶과 연결시켜 우리들이 잊고 있고 놓치고 있는 것들이 무엇인지를 옛 글과 이야기로 당시(2002)에 대입시켜 생각해보는 시사적인 내용들 많아 저자의 다른 책들에 비해서는 꽤 이례적인 내용으로 채워져 있다.

 

때로는 쓴소리를 아끼지 않고 때로는 준엄하게 꾸짖으려고 하고 있기 때문에 그리고 그 말들이 틀린 것 없다는 생각이 든다. 글을 끝낸 다음 이어지는 글뒤에 에서 내놓는 저자의 한탄어린 고백에서 단지 서글픔만을 느끼고 공감하기 보다는 뭔가 어떤 식으로 지금과는 다른 방식을 찾아봐야 할 것인지도 생각해보게 해준다.

 

느끼는 것 많아도 딱히 나아진 것 없으나 그래도 조금이나마 읽은 것에서 깨닫는 것이 있고 반성하며 나를 벼려야겠다. 글을 통해서 조금씩이라도 나아졌으면 좋겠다. 그게 진심이고 그래서 뭔가를 계속해서 읽게 된다. 무언가를 읽고 쓰고 남기는 것에 대해서 여러 생각을 하게 해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