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국의 시체 일본의 사체 - 한일 법의학자가 말하는 죽음과 주검에 관한 이야기
우에노 마사히코.문국진 지음, 문태영 옮김 / 해바라기 / 2003년 9월
평점 :
품절
“한국 법의학계의 창시자 문국진 교수와 일본 법의학계의 원로인 우에노 마사히코 교수가 지난 2002년 한국에서 4박 5일 동안 나눈 대담을 엮은 책. 두 사람은 한일 양국의 법의학 제도와 두 민족이 죽음과 장례문화, 주검에 대해 갖고 있는 문화적, 사회적 시각 차이와 등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부검 autopsy 剖檢 - 사인 死因 병변 病變 손상 損傷 등의 원인과 그 정도 등을 규명하기 위해 시체를 해부 검사하는 일
CSI 시리즈와 같은 드라마 및 기타 여러 분야를 통해서 부검의 중요성과 필요성 그리고 법의학이 어떤 영역인지를 조금은 알 수 있게 되었다. 물론, 일부분만 알게 되었을 것이고 약간은 과장되거나 어떤 것은 누락되어 전혀 모르는 부분도 있을 것이다. 그럼에도 법의학에 대해서 조금이나마 알게 되었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고 그쪽 영역에서 활동하는 사람들이 무엇을 하고 있고 어떤 경우를 겪는지도 어슴푸레 생각해볼 수 있게 됐다.
한국과 일본에서 오랜 기간 법의학계에서 활동한 두 원로가 만나 대화를 나눈 내용을 책으로 엮은 ‘한국의 시체 일본의 사체’는 양국 법의학의 차이점과 여러 특이했던 경험들 그리고 서로에게 궁금했던 것들이 대화로 오가고 있고 그 대화 속에서 죽은 이들을 통해서 진실을 알아내려는 집념과 단순히 법의학 영역만이 아닌 문화의 차이와 삶과 죽음에 대한 태도까지 알 수 있어 깊은 인상을 남기는 책(대화)이다.
2003년에 출판된 책이라 그 이후 한국에서 일어난 여러 잔혹한 범죄들을 떠올린다면 둘이 말하는 양국의 차이에 대해서 다시 생각할 부분들 많지만 그걸 제외한다면 두 원로가 나누는 대화는 품격과 깊이 그리고 다양한 내용이 막힘없이 이어져 있어 여러 가지로 훌륭한 대화라 말할 수 있다.
저자(들)의 말대로 몇 번 만난 적 없고 서로 서신을 교환하거나 짧은 일정 속에서 만났을 뿐인 사이라 막역하진 않지만 서로가 같은 영역에서 오랜 기간을 활동하다보니 많은 시간을 함께하지 않았음에도 상대를 존중할 수 있음을 알게 해준다.
별거 아니지만 생각해보면 신기하고 특이하다 말할 수 있을 양국의 여러 생각과 사고방식의 차이와 그걸 부검과 법의학의 관점에서 어떤 식으로 풀어낼 수 있는지를, 초창기 활동하던 시절의 별별 사연들과 사례들, 양국의 전혀 다른 이해방식, 문화와 감정 등 전혀 다른 방식들, 생소하고 신기한 법의학적 이해들, 여러 엽기적 사건들, 의문사의 진실을 어떤 식으로 풀어낼 수 있었는지, 양국의 법적 제도적 차이들, 법의학과 관련한 한국과 일본의 매우 특별한 경우들, 마지막으로 죽음과 삶에 대한 인식의 차이와 앞으로의 전망 그리고 죽은 자들이 어떻게 죽었는지를 밝혀내면서 얻은 깨달음까지.
그냥 원로 법의학자의 대화가 아닌 삶과 죽음 그리고 수많은 것들이 순서 없이 얘기되고 있지만 짧은 대화든 길어지는 대화든 흥미롭고 귀 기울게 만든다.
어떤 것을 놓고 말해도 두 원로처럼 상대를 존중하며 자신의 생각을 이해할 수 있게 그리고 충분히 설득력 있게 말할 수 있도록 해야겠다. 그러기 위해서는 알고자 하는 것을 계속해서 알려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