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아스포라 기행 - 추방당한 자의 시선
서경식 지음, 김혜신 옮김 / 돌베개 / 2006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디아스포라 Diaspora 흩어진(이산 / 분산) 사람들이라는 뜻으로, 팔레스타인을 떠나 온 세계에 흩어져 살면서 유대교의 규범과 생활 관습을 유지하는 유대인을 이르던 말

 

 

일반적으로 디아스포라의 뜻은 위와 같지만 저자는 위와 같은 뜻으로 쓰이는 디아스포라를 대문자의 말로 사전 상의 의미에 지나지 않다며 조금은 다른 의미에서 쓰고자 한다. 흩어져 살아가는 사람들을 지칭하는 소문자 보통명사로 사용하는 경우가 더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그 주장에 적당하게 수긍하게 된다.

 

또한 저자는 더 명확하게 근대의 노예무역, 식민지배, 지역 분쟁 및 세계 전쟁, 시장경제 등 외적인 이유에 의해, 폭력적으로 자기가 속해 있던 공동체로부터 흩어짐을 강요당한 사람들 및 그들의 후손을 가리키는 용어로서 디아스포라라는 말을 사용하고자 한다.”

 

좀 어렵게 설명하기는 했지만 쉽게 말해서는 외부자, 주변인, 이방인, 소수자 등의 의미에서 사용하고 있고 그들의 시선에서 바라보려는 저자의 다짐처럼 느껴진다.

 

어쩐지 눈길을 끌게 되는 제목이라 손이 갔고 저자의 이름이 낯설지 않아 (어딘가에서 들어본 것 같아) 읽게 된 디아스포라 기행은 어떤 내용인지 알지도 못하고 읽기 시작했고 생각과는 조금은 다른 내용이었지만 꽤 만족스러운 내용이었다. 여행기로서도 여러 예술과 문화에 대한 비평으로서도 그리고 저자 자신의 복잡한 내면의 고백으로서도 읽혀졌고 그것들이 순서 없이 섞여져 있지만 생각보다 잘 이어져 있어서 흥미로운 글쓰기 솜씨를 보여주고 있다.

 

저자는 프롤로그에서 우선 자신에 대해서 설명을 해주고 있다. 간단하게 말해서는 재일조선인이지만 민족, 국가, 언어, 문화, 터전 등 그 자신을 설명하기에는 생각보다 복잡하게 알려줘야만 하는 처지를 상세하게 설명하고 그렇기 때문에 소수자의 시선으로 디아스포라의 입장에서 있을 수밖에 없는 운명을 고백하고 있다.

 

여기까지 읽으니 어떤 내용일지 궁금해지기도 했고 한편으로는 마음 아파지기도 했다. 저자의 상황을 알게 되니 내 신세는 괜히 약한 소리 말아야겠다고 생각하게 만들고 그리 복잡한 구석 없다고 말하게 된다. 곤혹스러운 기분으로 저자의 음울한 생각을 따르며 이 세상을 살아온 혹은 살아가고 있는 수많은 디아스포라의 서글픈 삶을 알려주는 내용에 귀 기울일 뿐이다.

 

저자가 향한 곳은 유럽과 광주고 그곳에서 겪은 경험과 기억 그리고 여러 상념과 예술과 문화 비평이 앞서거니 뒤서거니 이어지고 있다. 그러다가도 섬세함과 비관 속에서 어떤 단호한 결론을 내놓기도 한다. 세상에 좌절하고 환멸하면서도 등 돌리기보다는 세상과 싸울 생각을 버리지 않는다.

 

너무 예민하고 염세와 절망에 빠진 시선 아닐까? 라는 생각도 들지만 반대로 디아스포라가 아닌 나와 같은 사람은 너무 간편하게 세상을 바라보고 판단했던 것은 아닐까? 라는 생각도 하게 만든다. 저자가 그리고 저자의 가족과 주변 사람들이 직접 겪었던 이야기(모욕적인 경험)와 저자가 관심을 갖고 있는 이들의 사연을 접하니 틀린 생각은 아닐 것 같다.

 

월간지에 연재한 에세이(산문)이기 때문에 깊이 있게 다루고 있기 보다는 여러 영역을 넘나들며 두루 살펴보고 있는 글이고 그렇기 때문에 읽기가 어렵진 않았다. 다만, 저자의 일관된 입장과 시각에 사람에 따라 불편함을 느낄지도 모른다.

 

조금은 긴 호흡으로 자신의 생각을 하나씩 내놓는 저자의 글 솜씨가 좋았고 그 글에서 다뤄지는 여러 내용에서 관심 가는 것 많아 좋았다.

 

많은 사람들이 선호하고 반길 것 같진 않지만 조용히 이런 걸 싫지 않아 할 누군가에게 읽어보길 권하고 싶은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