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다산선생 지식경영법 - 전방위적 지식인 정약용의 치학治學 전략
정민 지음 / 김영사 / 2006년 11월
평점 :
다산 정약용
조선 시대를 통틀어 탁월한 재능을 뽐냈던 이들 중 단연 돋보이는 지식인을 꼽으라면 아마 대부분은 다산 정약용을 으뜸으로 꼽을 것이다. 가장 먼저 꼽지는 않더라도 대부분 다산의 이름을 빼놓고 말하려 하진 않을 것이다.
조선 시대에 관해 조금씩 알아가고 있는 중에 읽게 된 ‘다산선생 지식경영법’은 다산의 대표적인 저술들이나 그의 행정들을 살펴보는 방식에서 조금은 벗어나 좀 더 넓은 관점에서 다산에 대해서 알아보려는 시도를 하고 있고 그 방식은 신선하고 흥미롭다.
제목이 지식경영법이라 학문적인 이해보다 말 그대로 관리와 경영에 관련된 내용이 대부분인 실용적인 내용으로 채워져 있거나 경영학에 접목해서 다산을 살펴보려는 내용이라고 생각한다면 그건 제목으로 인한 오해일 것이다. 그런 내용도 없진 않지만 다산이 길고 긴 유배 생활 동안 엄청난 규모의 연구와 저술이 가능할 수 있게 한 전체 과정을 들여다봤을 때 어떤 식으로 다산은 연구와 저술을 진행했고 여러 연구를 동시에 진행하면서 각각의 연구가 마무리되기까지 어떤 식으로 일을 나눠놓고 분담했는지 알아보고 있다.
쉽게 말해서 다산 정약용 이렇게 공부하고 글을 썼다. 혼자가 아닌 많은 사람들을 동원하고 일을 나눠서 정도로 말할 수 있겠다.
간간히 다산의 인간적인 모습들과 유배 생활을 하는 동안의 솔직한 마음 그리고 집요함을 넘어서 지나친 것 아닐까? 라는 생각이 들 정도로 연구와 논쟁에 빠져드는 다산의 여러 철두철미함과 치열함을 다뤄내고 있지만 전체적으로는 다산이 어떤 식으로 수많은 책들을 정리하고 자신의 것으로 만든 후 생각을 펼쳤는지를 꼼꼼하게 나눠놓고 정리하고 있다.
600쪽 정도의 분량이라 어렵게 읽을 것 같아 부담스럽게 책을 폈지만 생각 이상으로 쉬운 설명으로 빨리 읽어나갈 수 있었고 중요한 내용들을 알기 좋게 정리해주고 있어 다산에 대해서 궁금함이 있는 사람들이라면 꽤 많은 도움이 될 것 같다.
방대한 다산의 저술들을 생각해보고 다산에 관한 수많은 연구서들을 생각한다면 이 책이 오히려 다산에게 더 쉽게 다가갈 수 있는 책이 될 것 같다.
단순히 개별적인 저술들의 내용들을 간추려보거나 정리하려는 것이 아닌 다산이 어떻게 공부했고 그걸 어떤 방식으로 정리를 했는지를 알아보며 다방면에 재능을 발휘할 수 있었던 여러 이유들을 찾아보려고 하고 있다.
저자는 다산을 포함한 18세기 조선 지식인들의 특징을 수집벽과 정리벽이라고 보고 있고 다산은 그 두 핵심적 특징을 경악할만한 속도와 양으로 밀어붙여 지금과 같은 방대한 수집과 정리가 가능했다고 보고 있다.
다른 이들에 비해서 좀 더 체계적으로 그리고 좀 더 많은 이들과 함께 몰아붙였고 밀어붙여 가능했던 업적일 것이며 그것을 좀 더 잘 살펴본다면 지금 우리들에게도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들을 찾을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있다.
아주 틀린 생각은 아닐 것 같고, 저자는 그 입장에서 다산이 어떤 식으로 그 많은 정보를 정리하고 편집했는지를 다산의 방대한 저작들을 살펴보며 확인하고 있다.
저자는 머리말과 서설을 통해서 다산이 어떤 사람인지를 그리고 어떤 식으로 공부하고 연구했는지를 정리해 알려준 다음 그걸 다산 치학법 10강 50목 200결로 정리해내고 있다.
다산이 온갖 영역에 관해서 쏟아낸 글-생각들을 정리하는 것도 쉽지 않았을 것이다. 하지만 저자는 그런 방식에서 벗어나 다산이 어떤 방식으로 그걸 해냈는지 알아보는 것도 꽤 흥미로운 연구라고 생각한 것 같다. 발상의 전환이라고 생각할 수 있을만한 접근이었고 이 책을 통해서 다산을 알게 될 뿐만 아니라 공부하는 자세나 정리하는 방법 등 여러모로 큰 도움이 될 수 있는 내용이 있어 여러 방식으로 읽을 수 있게 해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