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끼리는 생각하지 마 - 미국 진보 세력은 왜 선거에서 패배하는가
조지 레이코프 지음, 유나영 옮김, 나익주 감수 / 와이즈베리 / 201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프레임이란 우리가 세상을 바라보는 방식을 형성하는 정신적 구조물이다

 

프레임 재구성은 정직성과 도덕성에 기초하고 있다

우리의 가장 깊은 신념과 이해를 의식으로 불러내는 것이다

진정한 신념을 표현하는 법을 배우는 것이다

자신들의 가장 깊은 신념을 이해하고, 그 신념에 따라 행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대를 존중하라

프레임을 재구성하여 대응하라

가치의 차원에서 생각하고 발언하라

자신의 신념을 말하라

 

 

프레임

 

번역자는 틀 의미론이라고 말하고 있고 적당하게 줄여 의미틀 혹은 생각틀 정도로 번역될 수 있는 프레임이라는 용어는 이제는 낯선 말이 아니게 됐다. 정치와 관련된 소식을 접할 때면 흔하게 접하는 말이 되었고 정치인들이 즐겨하는 말인지라 익숙하게 느껴지지만 정작 프레임이 무엇인지 설명하라고 한다면 말이 곧장 나오지 않고 막혀지기만 했다.

 

코끼리는 생각하지 마는 프레임이 무엇인지 그게 어떤 식으로 작동하고 우리들에게 왜곡된 이해를 하도록 하는지 쉽게 설명하고 있는 내용이고 그렇기 때문에 큰 관심을 받아왔다. 책을 발표한지 10년이 넘어 보완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는지 개정판이 나왔고 여러 가지로 내용이 더해지고 있고 좀 더 여러 사례들이 많아 이해를 높이고 있다.

 

하지만 ...’를 읽었다고 곧장 프레임에 대한 이해가 커지고 어떤 작동원리가 있는지 알게 되진 않는다. 오히려 읽기 전보다 프레임이라는 것이 더 아리송하게 느껴지고 과연 어떤 식으로 프레임이 작동하고 있고 그걸 깨기 위해서는 어떻게야 할 것인지 쉽게 판단되지 않게 된다.

 

다만 프레임의 작동원리와 그게 단순히 정치의 영역에서만이 아니라 우리들의 일상과 삶의 영역까지 어떤 식으로 영향을 주고 있는지를 잘 알 수 있었고 그렇기 때문에 프레임의 구성에 대한 명확한 이해가 있어야 한다는 결론을 쉽게 내릴 수 있었다.

 

감수자의 해제를 통해서 이 책의 의미와 내용에 대한 설명 그리고 한국 사회와 정치에 어떤 식으로 적용해볼 수 있을지 말끔하게 정리해주고 있어서 그걸 먼저 읽은 다음에 본문을 읽는다면 더 잘 이해될 수 있는 ...’는 서론을 통해서 프레임이 뭔지 간단하게 설명한 다음 좀 더 이해를 높일 수 있는 사례와 설명을 여러 토막글로 나눠 해주고 있다.

 

인지적 무의식

이중개념주의

유기적 인과관계

엄격한 아버지의 가정

자상한 부모의 가정

 

이런 저런 생소한 용어들이 나오지만 저자는 되도록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친절하게 설명해주고 있고 그렇기 때문에 편한 기분으로 읽어가며 프레임이 도대체 뭔지를 조금씩 알아가게 해주고 있다.

 

저자의 주장은 현재와 같은 잘못된 방식의 이해와 태도에서 벗어나 좀 더 올바른 가치를 찾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는 것이고 그러기 위해서는 잘못된 프레임에서 빠져나오는 것이 우선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 언어라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를, 모든 것이 언어로부터 시작하고 있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저자는 과학, 언어학, 경제학, 정치, 동성애 등 여러 영역을 끌어들여 자신의 주장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하고 있고 어떻게 해야만 좀 더 나은 세상이 가능할 수 있는지를 알려주고 있다.

 

모든 내용을 전부 다 이해했다고 말할 수는 없어도 충분히 저자의 의도를 알게 된 것 같고 앞으로 잘못된 프레임에 끼워져 이해하지 않도록 애써봐야 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