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는 그림으로 생각한다 - 자폐인의 내면 세계에 관한 모든 것
템플 그랜딘 지음, 홍한별 옮김 / 양철북 / 2005년 9월
평점 :
나는 그림으로 생각한다.
템플 그랜딘 지음
홍한별 옮김
자폐 아이들을 많이, 여럿 보게 되면서 자폐스펙트럼장애에 대한 전문지식을 넘어 자폐가 무엇인지에 대해 근본적인 궁금증이 일었다. 나와 같은 상태에서 조금더 그들에게 다가가고, 그들의 내면을 바라보고 싶은 이들이 있다면, 꼭 읽어보길 바란다. 진단자폐가 아닌 사람자폐를 보고자 하는 이들에게 권유하는 바이지만, 자폐가족을 둔 이들, 부모들에게도 더 없이 좋은 책인건 말해 무엇하랴.
자폐증이 무엇인지, 직업 생활을 어떻게 하고 있는지, 약물 치료를 어떻게 하는지에 대한 이야기를 상세하게 쓰고 있다. 이렇게 상세하게 써도 되나 싶지만, 이것이 자폐의 특성이다. 그래서 더 봄직하다. 자폐인이 쓴 자폐에 대한 이야기.
[신경계 이상은 태아 발달기에 일어나는 것이지 심리적 요인 때문에 발생하는 것이 아니다. 사소한 동요가 강렬한 반응을 일으키는 것이다.
자폐증의 가장 신비한 점 중 하나는 대부분의 자폐인들이 언어 능력은 떨어지는 반면 공간 지각 능력은 아주 뛰어나다는 것이다. 말을 잘 구사하고 자기 생각을 표현할 수 있는 성인 자폐인과 이야기를 나누어 보면 이들 대부분이 시각적 이미지로 사고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나와 같은 사람들은 선명하고 구체적인 그림으로 사고하는 데 반해, 대부분의 사람들은 언어와 추상적이고 일반적인 이미지를 조합해 사고하는 것이다. 자폐아는 단어 중에서 명사를 가장 쉽게 익히는데, 이미지와 일대일로 연결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첨탑이라는 단어를 읽거나 들으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일반적인 교회를 떠올리지 구체적인 교회와 첨탑을 떠올리지는 않는다. 사고 패턴이 일반 개념에서 구체적 실례로 이동하는 것이다. 나는 언어로 사고하는 사람들이 내가 표현하려는 바를 이해하지 못해 낙담한 적이많았다. 나한테는 너무나 뚜렷하고 명료한 그림을 상대방은 보지 못하기 때문이다.
자폐증이 심한 테드 하트는 일반화 능력이 거의 없고 행동에 융통성이 전혀 없다. 하루는 건조기가 고장 났는데 테드가 젖은 빨래를 그냥 옷장에 넣었다고 한다. 익히 알고 있는 빨래 순서에 따라 그냥 다음 단계로 넘어간 것이다. 테드한테는 상식이라는 게 없다. 이런 경직된 행동이나 일반화 능력의 결여는 시각적 기억을 바꾸거나 수정할 능력이 부족한 탁이다.
자폐인들 대부분은 아주 제한된 삶을 산다. 그것은 그들이 정해진 일과에서 벗어나는 것을 감당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아기가 자폐증일 수도 있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알 수 있는 징후는 아기를 잡거나 안았을 때 아기의 몸이 뻣뻣해지고 저항하는 것이다. 누군가가 만지는 데 아주 예민하게 반응을 해서 몸을 빼거나 소리를 지른다. 말을 하지 않고, 눈을 맞추지 않고, 짜증을 부리고, 귀가 들리지 않는 것처럼 보이고, 사람에 관심을 갖지 않고, 텅 빈 공간을 끝없이 응시했다. 아무도 어디에도의 저자 도나 윌리엄스는 한 번에 한 가지 감각 채널밖에는 사용할 수 없었다고 말한다. 선생님이 자기 턱을 잡고 눈마주기를 강요하면 대신 귀를 닫아 버렸다는 것이다.
내가 기억하는 한 나는 언제나 안기기를 싫어했다. 그 느낌이 나한테는 너무 압도적이었다. 접촉을 당하면 바로 도망갔다. 과부하가 일어나 차단기가 내려져, 달아나고 도망갈 수밖에 없었다. 접촉을 자기가 먼저 시작했을 때에는 참기가 훨씬 쉽지만, 다른 사람이 갑자기 건드리면 신경계에서 그 감각을 처리할 시간이 없기 때문에 보통 몸을 빼게 되는 것이다.
보통 사람은 그냥 무시할 수 있을 정도의 소음에도 나는 미칠 것 같았다. 대학교 다닐 때 룸메이트가 쓰던 헤어드라이어 소리는 제트기가 이륙하는 소리처럼 들렸다. 자폐인에게 가장 거슬리는 소리는 전기드릴, 믹서기, 전기톱, 진공청소기 등이 내는 높고 날카로운 소리다.
자폐아는 귀가 들리지 않는 것처럼 보이는 경우가 많다. 이 아이들은 어떤 소리에는 반응을 보이고 어떤 소리에는 반응을 보이지 않는다.
정상적인 접촉이나 포옹을 할 수 없게 만드는 신경계 이상 때문에 자폐증이 발생한다. 비정상적 신경계 때문에 아이가 엄마를 거부하고 만지면 몸을 빼는 것이다.
두 번째 타입의 아이들은 한 살 반이나 두 살 정도까지는 정상적으로 발달하는 것처럼 보이다가 그 후에 언어를 잃는다. 자폐증이 진행되면서 말을 알아듣는 능력이 퇴화되고 자폐 증상이 심해진다. 감각 체계가 점점 더 혼란스럽게 뒤얽히면서, 다정했던 아이가 스스로를 딛고 자기 안으로 쏙 들어가 버리고 마는 것이다.
자폐증 연소체의 한 쪽 끝은 주로 인지적 장애고, 다른 쪽 끝은 주로 감각 처리 장애라고 볼 수 있다. 눈 앞에서 손가락을 튕기는 아이는 시각 처리에 문제가 있을 수 있고. 어떤 자폐아는 다른 사람 말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는다. 반향언어증이 있는 자폐아는 다른 사람이 한 말을 반복함으로써 그 말을 이해한다. 자폐인들이 눈 맞추기를 잘 못하는 이유 중 하나는 의외로 단순하게도 다른 사람의 눈동자가 움직이는 것을 견디지 못하기 때문이다. 일부 자폐아는 곁눈질로 보는 것을 선호하는데, 시각적 이미지 왜곡 현상이다. 눈 가장자리로 보았을 때 더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옆으로 볼 때 사물이 더 잘보이고 똑바로 보면 보이지 않는 것이다. 냄새 맡는 것을 좋아하는 자폐아들이 많다. 후각이 시각이나 청각보다 주위 환경에 대한 더 정확한 정보를 주기 때문이다.
자폐증과 동물의 행동: 주디스 라포포트는 씻기를 멈추지 못하는 아이에서 손을 몇 시간 동안이나 씻고 렌지가 꺼져 있는 계속해서 확인하는 강박 신경증은 안전과 청결을 추구하는 원시적 동물적 본능이 작동하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나는 사람이 아니라 내 일과 어떤 장소들에 대해 깊은 애착을 갖는다. 자폐인은 집에 있는 물건이나 집에서 하던 일상적 절차에 대해 정서적 유대를 느낀다. 그것은 사람에 대해 강한 정서적 애착을 느끼지 않기 때문일 것이다.
동물이 죽는 곳은 신성한 장소가 되어야 한다. 일반 도축 공장에서도 의식을 실시해 그곳에서 일하는 사람들의 몸가짐을 다잡는 수단으로 이용해야 한다. 그러면 사람들이 무감하고 무신경하고 잔인해지지 않도록 막을 수 있을 것이다. 잠시 묵념을 하는 등의 아주 단순한 의식이어도 상관없다. 동물을 인도적으로 다룰 수 있게 설계를 개선하고 더 나은 설비를 하는 것과 더불어 나는 이 일도 해내고 싶다. 아무런 말도 필요없다. 그저 잠시 동안 침묵의 시간을 갖는 것이다. 그 광경이 머릿속에 생생하게 그려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