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리 위에서 니체를 만나다 - 사람과 예술, 문화의 연결고리 다리에 관하여
토머스 해리슨 지음, 임상훈 옮김 / 예문아카이브 / 202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다리는 이쪽과 저쪽을 연결해주는 중간자적 존재다. 그런가 하면 다리는 이쪽 세계과 저쪽 세계를 구분 짓는 경계이기도 하다. 이러한 다리의 특성은 공학과 건축, 물리적 측면에서도 그렇지만, 인문학과 상징, 관념적 측면에서 보아도 마찬가지다. 우리가 이라고 할 때, 과 길이 구분되듯이 다리 또한 그 의미를 나누어 생각해볼 수 있다.

 


우리는 궁궐이나 사찰에서 성속(聖俗) 혹은 차안(此岸)과 피안(彼岸)을 구분짓는 다리를 만나기도 하고, 해마다 칠월칠석이면 견우직녀의 오작교를 떠올리기도 한다. 서양에서는 형을 언도받은 죄인이 베니스의 운하를 건너며 한탄하던 탄식의 다리가 있고, 가장 오래된 로마 다리이자 투신 사고가 잦았다고 알려진 파브리키우스 다리도 있다. 그밖에도 신화, 역사, 문학, 명화, 영화 등에서 우리는 상징적이고 철학적인 수많은 다리를 만나곤 한다.

 

<다리 위에서 니체를 만나다>는 다리를 통해 예술과 인문학, 문화를 살펴보는 특이한 책이다. 유럽언어와 다문화 연구 교수인 저자는 예술적이고 철학적인 시각에서 다리 이야기를 들려준다. 그는 견우와 직녀의 오작교, 십자가와 지옥의 다리를 시작으로 신화와 전설, 종교 속에 등장하는 다양한 다리에 대해 이야기한다. 그의 이야기를 통해 우리는 공간적, 건축적 특성을 지닌 물리적 다리뿐 아니라 그 너머에 있는 음악의 다리, 언어의 다리, 교수대로서의 다리와 니체의 다리, 단절의 다리에 대해서도 살펴보게 된다.


니체는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에서 인간의 위대함은 그가 건너가는 존재이며 내려가는 존재라는데 있다라고 하였다. 니체는 인간을 짐승과 초인 사이에 놓인 밧줄이라고 표현했는데, 그러고 보면 인간은 결국 짐승(이쪽 세계, 차안此岸)에서 초인(저쪽 세계, 피안彼岸)으로 이어진 다리 어디쯤을 건너고 있는 존재이기도 하다.



책은 다리를 매개체로 하고 있지만, 철학책이자 인문학 책이어서 빨리 읽히지는 않는다. 하지만 눈에 보이는 다리가 아닌 니체의 다리, 마음 속의 다리를 건너고 싶다면 곱씹어가며 차근차근 읽어보면 좋을 듯하다.

 

--------------

* 책은 출판사에서 제공 받았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는 만큼 보이는 어원 이야기 - 지적인 생각을 만드는 인문학 수업
패트릭 푸트 지음, 김정한 옮김 / 이터 / 202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생물 시간에 계통수를 배웠던 기억이 난다. 계통수는 생물의 발생에서 유인원으로의 발달까지 나뭇가지 같은 줄기가 이어졌고, 그 끝에는 호모 사피엔스가 있었다. 그래서 계통수를 보면 인간이라는 존재가 어디서부터 시작되었고, 어떻게 발달해 왔으며, 지구상의 동물 전체에서 어디쯤 자리하고 있는지를 알 수가 있었다. 이런 계통수는 생물학뿐만 아니라 한 집안의 가계도(家系圖), 와인 분류 등 다양한 분야에도 적용된다. 그만큼 어떤 일이나 대상에 있어 근원을 파악하는 일은 중요하다.

 


어원 역시 마찬가지다. ‘어원(語源, etymology)’은 그리스어 에티몰로기아(etymologia)에서 비롯된 말로 단어의 진정한 기원을 찾는 연구라는 뜻이다. ‘언어는 사회적 약속인 동시에 시대와 사회, 문화에 따라 생성하고 소멸하는 생물(生物)이다. 우리가 쓰는 수많은 단어는 그 말을 쓰는 사회 구성원들(언중 言衆)사회적 약속에 의해 만들어진다

단어가 처음 만들어질 때는 언중들에 의해 어떤 의미를 가지고 생성되지만, 시간이 흐르면 단어는 일반화되고 원래의 어원은 오랜 세월 속에 묻혀지고 만다. 때문에 단어의 어원을 알고 나면, 단어 본래의 숨겨진 뜻과 원래의 의미를 좀 더 면밀하게 알 수 있다.



이 책은 단어의 어원을 다룬 책이다. 저자 패트릭 푸트는 전작인 <알아두면 쓸모 있는 어원잡학사전>에 이어 5년에 걸친 연구 끝에 <아는 만큼 보이는 어원 이야기>를 펴냈다. 예전에는 직업을 성씨로 삼은 경우가 많아, ‘Smith’대장장이에서, ‘Farmer’는 농부에서 성씨가 유래했다는 정도는 알고 있었지만, 이 책에는 성씨뿐 아니라 훨씬 더 다양하고 풍부한 단어의 어원에 대해 다루고 있다. 저자는 이름, 성씨, 직업, 신체 부위, 식물, 색깔, 건물의 이름뿐만 아니라 웹사이트, 음료수, 형용사 등 다양한 범위에 걸쳐 단어의 어원에 대해 설명해준다.

 

책에 따르면, ‘인스타그램 Instagram’은 즉석카메라의 브랜드 명칭인 ‘Insta’와 전보 telegram에서 비롯된 ‘gram’이 합해져 만들어졌고, ‘팔꿈치 Elbow’는 팔arm을 뜻하는 ‘el’과 구부러지는 활bow가 합해져 팔이 구부러지는 부분을 뜻하게 되었다. 자주 마시는 카푸치노 Cappuccino’가 원래는 긴 갈색 두건이 달린 예복을 입는 카푸친 수도사에서 유래한 말이고, 이 수도사들의 명칭을 딴 카푸친 원숭이 capuchin monkey’도 있다. 이런 유래를 알고 나면, 누군가와 카푸치노를 마시거나 할 때, 사소하지만 재미있고 흥미로운 이야깃거리가 되어주지 않을까?



책을 읽다 보면 단어의 어원을 알아가는 것도 재미있지만, 미처 몰랐던 당시의 역사, 문화, 과학 등 다양한 분야에 대한 이해가 넓어지는 것 역시 즐겁다. 그 단어가 왜 그런 의미로 쓰이는지 몰랐던 것도 어원을 알고 나면 흥미로운 미소와 함께 고개가 끄덕여지기도 한다

다양한 분야의 단어와 어원을 다룬 책이라 영어와 그리스어, 라틴어를 넘나들지만, 이해하기 쉽고, 깔끔한 문장으로 번역되어 있어 술술 잘 읽힌다. 한 마디로 언어적 지식과 함께 상식과 지적 호기심, 재미를 충족시켜주는 즐거운 잡학사전이라 하겠다.

 

-------------------

* 책은 출판사에서 제공 받았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Wishing From Afar 고대하다 연연하다 성찰하다 - 한국대표시인54인선집
이영희 그림, 이소정.이덕원 옮김 / 맥스미디어 / 202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평소에도 그렇지만, 특히 노벨문학상이 발표되거나 할 때면 흔히 언급되는 말이 있다. 한국문학작품이 노벨문학상을 못 받는 것은 작품성이 부족해서가 아니라 한국문학, 한국어의 아름다움을 제대로 번역해낼 수가 없어서라고. 그 말이 맞을 수도 아닐 수도 있지만, 오묘하고 속 깊은 우리말의 정서와 뉘앙스를 외국어로 제대로 번역하기란 결코 쉬운 일은 아니다. 그것도 일상이나 업무적인 대화가 아니라 문학작품이라면 더욱 그렇다. 하물며 언어의 정수가 집약된 시어(詩語)일 때는 그 어려움이 오죽할까.

 

<고대하다 연연하다 성찰하다>는 한국의 대표 시인 54인의 시, 112편을 엮어놓은 시선집이다. 시선집(詩選集)이야 종종 보게 되지만, 이 책에 관심이 간 것은 한국어 원문과 영어 번역이 같이 실려 있기 때문이었다. 책은 우리에게 익숙한 김소월, 윤동주, 이육사부터 나태주, 정호승, 함민복, 이정록 등 한국의 내로라하는 대표 시인들의 시를 국문과 영문으로 함께 싣고 있다.



책은 한국어로 된 시 원문을 읽으면서도, 책의 특성상 영문 번역을 더 눈여겨보게 된다. 번역의 특성상 어떤 시는 원작의 느낌대로 무난하게 전달되기도 하고, 어떤 시는 영문으로 읽으면 원작의 정서가 희석되는 느낌이 들기도 한다. 아무래도 행간에 숨겨진 한국어 특유의 묘미, 한국적 정서의 오묘한 느낌을 외국어인 영어가 온전히 다 품지 못하기 때문일 것이다.

 

사과

붉은 사과 한 개를

아버지, 어머니,

누나, , 넷이서

껍질째로 송치까지

- 노나 먹었소.

- 윤동주

 

Apple

We shared

A red apple

Its skin and core

Four of us

Dad, mum, sister and me.

- Yun Dong-Ju

 


윤동주의 사과도 그렇지만, 김소월의 진달래꽃역시 마찬가지다. ‘When you can’t stand the sight of me/ And leave/ I shall let you go without any objections’이라는 영문으로는 나 보기가 역겨워/ 가실 때에는/ 말없이 고이 보내 드리오리다에서 느껴지는 깊은 속울음과 애닲은 역설이 전해질 리 만무할 수밖에.

 

그럼에도 불구하고 역자들의 노고는 높이 살 만하다. 번역 교육을 따로 받지 않고, 각자의 전문 업무가 있는 역자들이 이런 힘든 작업을 해낸 것은 각기 다른 두 문화에 대한 깊은 애정과 이해가 있기 때문일 것이다. 책 속의 시는 아기자기하고 감성적인 느낌의 그림과 함께 실려 있어 조화로움을 더한다. -캐나다 수교 60주년을 맞아 펴낸 책이라는데, 한국의 시가 외국인들에게도 널리 알려지는 계기가 되었으면 좋겠다.

 

---------------------

* 책은 출판사에서 제공 받았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예술가의 해법 - 문제의 너머를 보다
에이미 E. 허먼 지음, 문희경 옮김 / 청림출판 / 202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예술 분야에 처음 발을 들이게 되면, 가장 많이 듣는 말 중의 하나가 다르게 보기낯설게 하기. 문학 수업을 들을 때도 그랬고, 예술의 한 분야인 지금의 작업을 하는 동안에도 마찬가지였다. 문학, 미술, 음악, 사진 등 창의성을 모태로 작업을 하는 이들에게는 다르게 보고, 낯설게 하는 것은 늘 중요시되는 두 가지 화두다.

 

이 책은 <예술가의 해법>이란 제목에 끌려 보게 되었는데, 책 소개가 좀 이상했다. 제목이 예술가의 해법이고, 내용에 그림이며 여러 예술 작품들이 소개돼있는 것까지는 여느 책들과 비슷했다. ‘준비-밑그림-전시라는 목차 역시 작가들이 전시 준비를 할 때의 순서와 별반 다르지 않았다. 그런데 ‘FBI와 인터폴, 미 국무부, 포천 500대 기업 등에서 극찬을 해 온 강의라니? 예술가와 이런 공기관, 기업들이 무슨 상관이 있다는 걸까? 상식적으로 예술가와는 별로 큰 연관이 없는 조직들이다 보니 뭔가 좀 아이러니하게 보였다.

 

그런데 책을 실제로 보고 나니 다소 아이러니하게 느껴졌던 책 소개가 이 책을 제대로 설명해주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 책은 예술가의 창작에 관한 책인 동시에 아니기도 하다. 이 책은 예술가의 창작 과정을 바탕으로 문제 해결의 기술(?)에 대한 이야기를 하는 책이다. 책은 미술 작품을 통해 직관적인 통찰과 관찰 방식을 이해하고, 그런 과정을 통해 문제에 대한 접근 방식을 새롭게 해보도록 일깨워준다.

 


저자인 에이미 허먼은 미술사가이자 변호사로서 지각의 기술(The Art of Perception)’이라는 관찰 기술 향상 프로그램을 만든 교육 책임자이기도 하다. 그는 의사들에게 환자를 기록이 아닌 관찰을 통해 보게 하며, 경찰에게는 수사 기록을 사실과 의견을 구별하고, 전문가나 지도자들에게는 더 명확히 지각하고 소통하는 방법을 알려주는 소통 교육 전문가다. 그는 준비와 밑그림, 실행의 과정을 반복하는 예술가의 창작 과정을 빌어 시각적 분석과 통찰력을 키우는 방법에 대해 알려준다.

 


저자는 워싱턴과 링컨’, ‘오바마와 링컨두 장의 사진을 보여주며 지각의 기술에 대해 말한다. 워싱턴과 링컨을 볼 때는 두 이미지의 유사점과 차이점에 집중해서 보게 되지만, 오바마가 등장한 이미지를 본 순간 마음속에는 이미지와 무관하게 수많은 생각이 떠오를 것이라고 말한다. 저자는 (오바마에 대한 호불호와 관계없이) 이러한 배경에 개인의 편견이 개입된다는 사실을 일깨워준다.

 

이런 식으로 저자는 예술 작품을 통한 우리의 지각과 시각, 인식에 대한 이야기를 다양한 측면에서 말하고 있다. 저자가 강조하는 관점을 바꿔라’, ‘데드라인을 정하라’, ‘그냥 하라등의 조언은 실제 작가, 예술가들이 끊임없이 되뇌이고, 실행하는 작업 과정이기도 하다.

사실 예술의 각 분야도 다루는 매체의 수단과 형태만 다를 뿐 수집한 재료로, 나름의 시각을 가지고, 일련의 어떤 결과물을 만들어내는 과정이라는 점은 같다. 문제를 바르게 직시하고, 그 안에서 답을 찾는 방식은 우리의 일이나, 일상, 삶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

* 책은 출판사에서 제공 받았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람을 얻는 지혜 (초판 완역본) 세계교양전집 1
발타자르 그라시안 지음, 황선영 옮김 / 올리버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을 읽기 전에 먼저 잠언(箴言)이나 경구(警句)를 통해 익숙해진 이름들이 있다. 공자, 맹자, 니체, 소로, 에머슨 등도 그렇지만 그라시안 역시 그중 하나다. 좋은 글귀나 경구를 들으면 따로 메모를 해놓곤 하는데, ‘그라시안이라는 이름 역시 그렇게 해서 알게 된 경우다. 처음에는 짧은 글귀, 명언으로만 접해서 그 인물 자체에 대해서는 전혀 모르는 경우가 많지만, 그렇게 몇 번 접하다 보면 그 인물에 대해서도 궁금해지고, 그가 쓴 책에 대해서도 관심을 갖게 된다.


<사람을 얻는 지혜>는 그렇게 해서 읽게 된 책이다. ‘그라시안에 대한 정보는 전혀 없었지만, 명언을 통해서 귀에 익은 이름이었고, 또한 책의 내용이 인간의 본성과 처세에 대한 이야기라고 해서 관심을 갖게 되었다.



저자인 발타자르 그라시안은 17세기 스페인 예수회의 신부로서 이 책에는 그라시안의 300가지 인생 조언이 담겨 있다. 신학을 공부하고, 사제 서품 뒤 인문학과 문법을 가르쳤던 그는 예수회 사제인 동시에 활발하게 집필 활동을 한 작가이기도 했다. 그의 이러한 활동은 예수회의 반감을 사 결국 징계를 받고 유배생활을 하게 되고, 그에 따른 건강 악화로 인해 그는 57세의 나이에 생을 마감하고 만다.

 

그런 역경 속에서도 그라시안의 글이 출판된데는 그의 절친인 빈센치오 후안 데 라스타노사의 도움이 컸으며, 라스타노사는 책의 서두에서 자신이 그라시안의 저서 열두 권을 한 권으로 녹여내었다고 밝히고 있다. 그는 그라시안의 이 책을 무게 잡는 예언자라 칭하며 이 책이 훈계조의 간결한 격언이라고 표현하였다. 그의 말처럼 이 책의 경구들은 훈계조의 격언일 수도 있겠지만, 삶과 사람을 대하는 태도에 대한 경구이기도 하다.


 

책은 001~300까지 일련번호가 목차로 되어 있고, 각 항마다 하나의 경구로 이루어져 있다. 때문에 어느 페이지를 먼저 펼쳐 읽어도 좋은 책이다. 내용을 보면, ‘001 가장 완전한 일은 진실한 사람이 되는 것이다부터 ‘002 인성과 지성’, ‘011 배울 점이 있는 사람들과 어울려라’, ‘065 안목을 키워라’, ‘113 행운이 따를 때 불운에 대비하라’, ‘156 친구를 가려서 사귀어라등등 우리가 살면서 많이 듣게 되는 조언들이 담겨 있다. 우리가 자라면서 흔히 들었던 그 말이 , 여기서 나온 말이었어?’ 하게 되는 경우도 꽤 있다.


책은 17세기 신부에 의해 씌어진 책이지만, 21세기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도 많은 교훈을 준다. 물론 시대의 변화에 따라 현재의 상황에 맞게 적절히 이해하고 적용할 필요는 있다. 그렇다 하더라도 신학과 인문학을 아우른 그라시안의 지혜, 삶에 대한 깊은 통찰은 인간관계로 복잡한 시대를 사는 우리에게 많은 울림을 준다.


--------------------------

* 책은 출판사에서 제공 받았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