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shing From Afar 고대하다 연연하다 성찰하다 - 한국대표시인54인선집
이영희 그림, 이소정.이덕원 옮김 / 맥스미디어 / 202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평소에도 그렇지만, 특히 노벨문학상이 발표되거나 할 때면 흔히 언급되는 말이 있다. 한국문학작품이 노벨문학상을 못 받는 것은 작품성이 부족해서가 아니라 한국문학, 한국어의 아름다움을 제대로 번역해낼 수가 없어서라고. 그 말이 맞을 수도 아닐 수도 있지만, 오묘하고 속 깊은 우리말의 정서와 뉘앙스를 외국어로 제대로 번역하기란 결코 쉬운 일은 아니다. 그것도 일상이나 업무적인 대화가 아니라 문학작품이라면 더욱 그렇다. 하물며 언어의 정수가 집약된 시어(詩語)일 때는 그 어려움이 오죽할까.

 

<고대하다 연연하다 성찰하다>는 한국의 대표 시인 54인의 시, 112편을 엮어놓은 시선집이다. 시선집(詩選集)이야 종종 보게 되지만, 이 책에 관심이 간 것은 한국어 원문과 영어 번역이 같이 실려 있기 때문이었다. 책은 우리에게 익숙한 김소월, 윤동주, 이육사부터 나태주, 정호승, 함민복, 이정록 등 한국의 내로라하는 대표 시인들의 시를 국문과 영문으로 함께 싣고 있다.



책은 한국어로 된 시 원문을 읽으면서도, 책의 특성상 영문 번역을 더 눈여겨보게 된다. 번역의 특성상 어떤 시는 원작의 느낌대로 무난하게 전달되기도 하고, 어떤 시는 영문으로 읽으면 원작의 정서가 희석되는 느낌이 들기도 한다. 아무래도 행간에 숨겨진 한국어 특유의 묘미, 한국적 정서의 오묘한 느낌을 외국어인 영어가 온전히 다 품지 못하기 때문일 것이다.

 

사과

붉은 사과 한 개를

아버지, 어머니,

누나, , 넷이서

껍질째로 송치까지

- 노나 먹었소.

- 윤동주

 

Apple

We shared

A red apple

Its skin and core

Four of us

Dad, mum, sister and me.

- Yun Dong-Ju

 


윤동주의 사과도 그렇지만, 김소월의 진달래꽃역시 마찬가지다. ‘When you can’t stand the sight of me/ And leave/ I shall let you go without any objections’이라는 영문으로는 나 보기가 역겨워/ 가실 때에는/ 말없이 고이 보내 드리오리다에서 느껴지는 깊은 속울음과 애닲은 역설이 전해질 리 만무할 수밖에.

 

그럼에도 불구하고 역자들의 노고는 높이 살 만하다. 번역 교육을 따로 받지 않고, 각자의 전문 업무가 있는 역자들이 이런 힘든 작업을 해낸 것은 각기 다른 두 문화에 대한 깊은 애정과 이해가 있기 때문일 것이다. 책 속의 시는 아기자기하고 감성적인 느낌의 그림과 함께 실려 있어 조화로움을 더한다. -캐나다 수교 60주년을 맞아 펴낸 책이라는데, 한국의 시가 외국인들에게도 널리 알려지는 계기가 되었으면 좋겠다.

 

---------------------

* 책은 출판사에서 제공 받았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