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고사성어에서 경영의 길을 찾다 - 고전의 숲에서 주워올린 경영의 지혜
김우일 지음 / 책이있는풍경 / 2010년 2월
평점 :
언제부터인지는 모르겠지만, 퓨전이나 크로스오버 혹은 통섭 등 여러 가지 이름으로 한 분야와 다른 분야의 교류 내지는 혼용이 많아진 듯하다. 이들 용어의 정확한 의미나 쓰임새는 조금씩 다르겠지만, 한 분야가 자기와는 다른 분야의 것을 만나 새로운 시너지 효과를 낸다는 점에서는 동일할 것이다. 이들의 최고의 장점은 내가 비교적 친숙한 분야의 것을 통해, 생소한 분야의 것과 조금 더 가까워지고 그 폭을 더 넓힐 수 있다는 점일 것이다. 이것이 상승작용을 일으켰을 때에는 두 분야를 아우를 수 있는 시너지효과를 내어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을 것이고, 잘못된 배합일 때에는 우리가 간혹 퓨전음식이라며 이도저도 아닌 국적불명의 음식을 먹었을 때의 개운하지 못한 뒷맛을 느껴야만 할 것이다.
내가 이 책에 관심을 가진 것은 두 가지 이유에서였다. 하나는 고사성어(故事成語)와 경영이라는 조금은 동떨어진 듯한 두 분야가 만났다는 점이 흥미로웠고, 또 하나는 저자를 직접 뵌적은 없지만 나 또한 한동안 “대우”라는 회사에 몸담고 있었기 때문에 한 번 더 관심이 가게 되었다. 또한 고사성어가 경영자에게 도움이 되었던 것을 내가 직접 경험했었기에 와닿는 제목이기도 했다.
재직할 당시에 우연히, 명절을 앞두고 대내외적으로 청탁성 선물을 금지한다는 내용의 CEO서신을 작성할 일이 있었는데, 어찌보면 형식적일 수도 있는 내용이지만, 당시 CEO의 확고한 경영방침에 따라 경우에 따라서는 민감해 질수도 있는 상황이었다. 내용은 전달해야겠고, 장황한 말로는 관례적인 편지밖에 안 될 것 같아 고민하다가 화두로 썼던 것이 “양자사지(楊子四知)”라는 고사성어였다. (이것은 아무도 보지 않으니 누가 알겠느냐며 뇌물을 주는 친구에게 “하늘이 알고, 땅이 알고, 자네가 알고, 내가 안다!”며 단호히 거절한 후한(後漢) 때의 양진의 고사에서 나온 말이다.) 이와 같이 처한 상황에 따라 긴 설명을 할 필요없이 적절한 고사성어만으로 하고자 하는 말의 의미를 전달할 수 있기에 실생활에서도 자주 쓰이는 듯하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고사성어라고 하면 많은 사람들이 실제로는 많이 쓰고 있으면서도 한자라는 이유 때문에 부담스러워하는 것 또한 사실이다. 내 경우에는 전공 덕분에 비교적 한자와 친숙한 편이지만, 그나마 자주 쓰지 않다보니 비전공자와 오십보 백보이다. (쓰다보니 이 말 또한 고사성어이다.^^) 고사성어는 꼭 4글자만이 아니라 계륵, 모순, 등용문 등과 같이 여러 가지가 있는데, 이 책에서는 그 중 모두 사자성어(四字成語)를 위주로 하여 서술되고 있다.
저자는 수 십 여년의 경영현장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경영에 필요한 금과옥조같은 이야기들을 주제별로 이야기하고 있다. 본인 또한 우연히 만난 세 가지 고사성어(결초보은, 과유불급, 사면초가)에 마음을 빼앗겼다고 하면서 말이다. 이 책은 보는 사람의 입장에 따라, CEO 내지 경영자의 입장에서 볼 수도 있을 것이고, 취업을 앞둔 사람에게 도움이 될 수도 있고, 혹은 뭔가 나만의 motto를 찾기 위해 읽을 수도 있고, 모두 받아들이기 나름일 것 같다. 저자도 머리말에서 말했듯이, 고사성어는 누구나 공감하는 평범하고 일반적인 교훈을 담고 있기에 기업경영뿐 아니라, 나 자신을 경영하는 모든 이들에게 교훈과 메시지를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책의 구성은 6편으로 나뉘어져, 경영하는 사람이 기억해야 할 교훈과 철칙, 그리고 금기 내지는 주의사항등을 제시하고 있다. 각 장의 본문은 두 부분으로 나뉘어 앞부분에서는 저자의 풍부한 경영현장에서의 경험과 경영컨설턴트로서 체험한 내용들을 서술하고, 뒷부분에는 그와 관련된 고사성어를 간략한 유래와 함께 제시하고 있다. 책을 읽다보면 대부분의 내용이 실제 기업의 사례를 바탕으로 하고 있어서인지, 한 때 뉴스를 장식했던 여러 기업의 일면들이 다시 떠오르기도 하고, 우리가 알지 못했던 기업의 일화를 듣는 듯해서 흥미로운 부분도 많다.
그 중 특히 흥미로왔던 부분은 재벌총수들의 경영모토를 비교한 부분이다. 김우중 회장의 ‘도전’, 이건희 회장의 ‘경청’, 고 정주영 회장의 ‘돌진’, 고 최종현 회장의 ‘신중’ 등.... 총수의 경영모토는 그대로 그 기업의 문화에도 반영되기 때문에, 실제 회사 분위기도 그 모토를 닮아가게 마련이다. 그런 측면에서 ‘경청’을 모토로 삼는 삼성이 이건희 회장 개인의 힘보다 조직의 힘이 견인차 역할을 하여 일류회사를 이끈다고 평가한 부분은 인상적이었다. 또한 대우와 삼성, 두 그룹의 임원회의를 비교한 부분도 재미있다. 임원회의가 끝날 때, 김우중 회장은 “그대로 하시오”인 반면, 이건희 회장은 “알아서 하시오”라고 한다던가. 물론 결과론일수도 있겠지만 어쨌건 저자는 이러한 비교를 통해, ‘입을 닫고, 귀를 열고, 두뇌를 활성화하고, 손발을 움직이라’는 경영수칙을 제시하고 있다.
이 책의 강점은 저자가 경영현장에서 겪은 경험을 바탕으로 하고 있고, 그가 예로 들고 있는 기업들 또한 우리 귀에 익숙하기 때문에 현실감있게 느껴진다는 부분이다. 실제 사례들을 통해 알기 쉽게 풀어써서 어려운 주제의 경영지침서보다는 보다 쉽게 읽힌다.
하지만 반면 아쉬운 부분도 꽤 있다. 각 장을 너무 세분화하고, 내용을 짧게짧게 끊어쓰다보니 한 가지 주제에 깊이있게 들어가기보다는, 단편적인 이야기로 빨리 마무리짓는듯한 느낌이 든다. 그래서 읽고있는 내용에 몰입이 될 만하면, 이야기가 끝나버리는 듯한 아쉬움이 있었다. 또한 고사성어의 경우에는, 그 유래에 대해 너무 간략하게 인용을 하다보니 이미 알고 있는 고사성어의 내용인데도 무슨 내용인지 문맥이 쉽게 이해되지 않을 때가 많았다.
이 책을 통해 전문적인 경영 이론이나, 고사성어에 대한 깊은 이해를 원하는 독자라면 어떤 면으로는 성에 안 찰 수도 있을 것이다. 이 책은 서두에 말한 것처럼, 경영을 통해 고사성어를, 혹은 고사성어를 통해 경영의 일면을 이해할 수 있는 양면을 가지고 있어서 내게 친숙한 부분을 통해 다른 분야에 좀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는 계기를 찾는 책이라고 보여진다. 내가 이미 알고 있는 사실을 통해, 생소한 분야에 한 발 더 다가간다는 의미로 보면 맞지않을까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