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입시가 끝난 후 친구와 <터미네이터 1>을 보면서 "이렇게 무서운 영화는 처음 본다”며 감탄에 감탄을 했었다. 아무리 총을 쏴도 죽지 않던 그 사이보그는 불에 다 타서 앙상한 몰골만 남은 상태에서도 주인공을 괴롭혔다.
그로부터 23년이 지난 지금, 난 그 당시 느꼈던 공포감을 다시금 체험했다. 조금 있으면 열릴 라파엘 나달과 페더러의 결승전이 주는 긴장감을 해소하고자 <검은집>을 봤던 것. 사실 난 한국 영화 중 호러 장르에는 별반 기대를 하지 않았었다. <여고괴담>1과 그 속편, 이렇게 두편의 예외를 제외하곤 한국에서 만들어진 호러영화는 주인공만 무서워하고 관객은 쓴웃음을 짓는 양극화 현상을 초래하곤 했다. 아무리 황정민이 나온대도 <검은집>을 볼 마음은 없었는데, 위에서도 말했지만 긴장감 해소를 위해 영화를 고르던 끝에 평점이 좋아서 보게 된 것. 이런 걸 보면 난 참 점수에 연연하는 놈 같지만, 그 덕분에 <택시 4> 대신 머리칼이 쭈뼛한 무서운 영화를 볼 수 있었으니 좋은 거 아닌가? (참고로 ‘택시4’의 평점은 4.58).
예상치 못한 반전에 놀라면서, 잔혹한 장면에선 부채로 얼굴을 가려 가면서 영화를 봤는데, 정말 무서울 땐 옆에 앉은, 어여쁜 여인과 같이 온 남자를 껴안고 싶단 생각도 했다. 공포영화에 유난히 연인들이 많은 이유도 거기에 있을 텐데, 애인과 안고 싶다면 <검은집>을 보시라. 이 영화는 여러번 당신을 도와줄 테니까.
아쉬운 점 한가지. 늘 하는 생각이지만 선과 악이 대결할 때는 사생결단으로 싸워야 하는데 너무들 마음이 모질지 못한 것 같다. 나쁜 놈들은 우리 주인공을 사로잡은 뒤 바로 죽이지 않고 수돗물이 방안에 가득 차 죽게 한다든지, 자루에 넣어 바다에 던진다든지 해서 살아날 가능성을 부여한다. 반면 좋은 쪽 사람들은 지나치게 생명 존중 사상이 뛰어나, 적군이라 하더라도 함부로 죽이지 않는다. 예컨대 병으로 머리를 때려 기절을 시킨 뒤 추가로 두들겨 패 재기할 기회를 박탈하는 대신 그대로 방치하고 다음 코스로 가는데, 잠깐 기절했던 나쁜놈은 대개 정신을 차린 후 주인공들을 쫓아 곤경에 빠뜨린다. 선과 악이 치열하게 대결하는 이 영화 역시 착하디착한 주인공은 ‘쓰러진 적은 다시 때리지 않는다’는 프로권투의 원칙을 지키려다 많은 어려움을 겪는다. 다른 때라면 모르겠지만 생명이 걸린 싸움에서 그런 자비심을 발휘하는 이유는 짐작이 가지만, 가끔은 답답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