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 그 이후 매스터마인즈 3
돈 큐피트 지음, 이한우 옮김 / 해냄 / 1999년 10월
평점 :
품절


돈 큐피트는 자신의 사상적 근간으로 니체를 말하기를 꺼리지 않는다. 그는 니체가 언명 하였듯이 종교와 플라톤의 종말을 선언하고 붕괴된 실재론적 이원론 이후 인류에게 필요한 종교를 재건하고자 한다.(1997년)

그가 만들고자하는 종교의 방향은 죽은 조상이라 하더라도, 죽었다는건 알지만, 기리고 섬기듯이 신을 항상 염두에 둔 조심스런 삶, 그리고 결국 삶이란 아무것도 아니고 죽으면 아무 것도 없다는 걸 인정하고 가벼웁게 미련없이 살아가는 것, 그리고 존재란 결국 표출하기 위해 사는 것이므로 미친 듯이 어떤 일에 열중하며 자기를 소진시켜 나가는 것. 거기에 덧붙여서 니체의 폭격 아래에서 논리적 신학의 자리는 없으므로 시와 같은 예술적 형태의 신학을 만들기, 이런 반실재론적 기반 위에 결국 모든 종교적 어휘를 아우르는 세계종교를 그는 만들자고 제안한다.

그의 말을 따르자면 결국 인간이 스스로의 종교성을 파헤쳐 발견한 것은 힘의 의지이며 에너지의 팽창일뿐이다. 인간은 자기밖에는 의지할 곳 없는 절대고독의 존재로 살아야 하는 존재. 그리고 스스로는 믿지 않는 신을 만들어야 하는 일을 묵묵히 해내야 하는 존재다. 언뜻 돈 큐피트가 제안하는 비실재론적 융합종교를 듣다보면 신세기 에반겔리온이나 나우시카 혹은 원령공주의 목소리를 듣는 듯하다. 여러신들과 어울려 空을 공유하며 장인의 이상을 위해 미친듯이 살며, 이웃과 조상신을 두려워하는 세계, 그러나 결국 아무 의미도 없는... 오타쿠의 나라. 혹 서양인들이 일본에 대해 갖는 환상들이 서양인 머리 어딘가 섞여들어 이런 결론에까지 다다른것인가. 아니면 망가 애니메이션속에서 폼 하나로 죽어가는 프랑스 아방가르드의 오타쿠적 변형이 포스트모던의 대세인 때문인가. 오타쿠(달인)가 삶의 목표가 되어가는건 사실 그 근본에 있어서 종교적 문제라는 걸 알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