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국과 지옥의 이혼 믿음의 글들 202
클라이브 스테이플즈 루이스 지음, 김선형 옮김 / 홍성사 / 2003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1946년 출간된 루이스의 이 책은 판타지적 형식을 빌어 천국과 지옥의 모습을 보여준다. 이런 비유적 묘사에 대한 서술적 설명은 1940년 나온 [고통의 문제]에서 더 자세하고 정확하다. 포괄성이나 이해하기 쉬운 것에야 [고통의 문제]가 훨씬 낫겠지만, 판타지는 가슴에 부딪히게 강력한 설득력으로 읽는이에게 영적 충격과 깨달음을 주는데에 그 역할이 있는 것 같다. 그는 신학자라기 보다 영성가로 불리어야 한다. 그에게 관심은 얼마나 논리적으로 한 종교를 설명해 내느냐에 있지않고 어떻게 하면 더 깊이 하나님을 이해하고 그 절대적 진리의 힘을 독자가 느낄 수 있도록 만드느냐에 더 집중하고 있다.
 
루이스에게 천국은 내세적 의미인 동시에 현재에 살아가는 선택이기도하다. 스코틀랜드의 영성가 조지 맥도날드의 영향을 엿볼 수 있는 이 책에서 맥도날드는 루이스의 베르길리우스가 되어 천국과 지옥에 대한 배타적 견해 즉 인간의 자기 중심성이 결정짓는 무시간적 선택으로서의 천국과 지옥을 보여준다. 자기 자신에게 집중하여 사는 삶, 구원과 하나님에 대한 피상적 접촉이라는 건널 수 없는 자아의 골짜기를 두고 천국과 지옥은 갈라져 있는 셈이다. 우리는 지금 우리의 결정을 통해 시간을 초월하는 세계에서 하나님께 가까이 혹은 멀리간다. 때로 우리의 당하는 고통과 시험이 의로우며 영원에서 우리에게 유익한 결정일수 있는 것은 도리어 이런 어려움이 천국이 여기에서 선택되어지도록 돕기 때문임을 안다.
 
이 짧막한 판타지는 나로 자연스런 죄인인 나의 모습을 감추고 그 분앞에 서려는 것을 드러낸다. 무엇인가 내세울거리를 마련코자 함. 정작 구원의 문제에 초점이 맞추어지기 보다는 장식품들에 더 연연하는 태도. 루이스는 적나라한 비유를 통해 이런 하나님과 분리된 종교인으로서의 그리스도인의 모습을 거울을 보듯 비춰준다. 어떻게 살 것인가? 고삐를 놓고 산다. 도움을 구하며 산다. 껍질을 벗고 산다. 돌이켜 이 책을 지금 읽게 하신 이유를 생각해보면, 나의 자기합리화의 길로 더 이상 내려 앉지 않게 하심이다. 정직히 나 자신과 만나게 하시고자 하심이며 엉뚱한 일로 빼앗긴 내 관심을 돌리기 위하심이다. 두렵고 떨리는 고통이 아닌 먼저 부드러운 말로 설득하고자 하심이다. 그래서, 지금의 삶을 하나님과 동행케 하고자 하심이다. 그분이 주시는 세상이 줄 수 없는 기쁨을 맛보게 하고자 하심이다. 잊지 말고 하나님께 정직히 자신에게 정직히 서야한다. 그리고 영혼과 그 가치 이외의 것에 대해 올바른 자세를 새롭게 해야한다. 지금 귓가에 쩌렁거리게 말씀하실 때, 이 목소리를 결코 무시해선 안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