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이스 VS 프로이트 C.S. 루이스 연구서
아맨드 M. 니콜라이 지음, 홍승기 옮김 / 홍성사 / 2004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아맨드 니콜라이 교수의 하버드 대학에서의 강의를 엮어낸 이 책은 현대의 지성인으로 산다는 사람들이 갖는 괴로움에 대한 대답으로 씌여진 책이다.
 
윌리엄 제임스가 말했듯 우리가 선택할 수 있는 세계관에는 결국 두가지가 있다. 절대주의적인 독단적 세계관. 유신론적이며 종교적이고 목적이 있는 우주에 대한 주장이다. 그리고 멋있어 보이는 유물적이고 경험론적인 세계관. 진화론적 force의 우주, 회의론적 우주에 대한 주장이다. 있는대로 설명하는 경험론적 우주관은 다 좋은데 체스터튼이 보여주듯 [가없는 절망]이 문제이다. 의미를 인간이 소유한다는 것, 만물의 척도가 인간이 된다는 것은 사실 인간도 만물도 의미가 없다는 것과 같아지기 때문이다. 인간은 있는 그대로의 모습에서 가치를 창조할 수 없다. 사는 것도 죽는 것도 고통도 선행도 도덕도 아무런 의미와 기준을 갖지 못한다. 그래서 깊은 무의미의 절망이 밀려온다. 우린 이걸 부조리라고 부른다. 시치프스의 신화
 
절망적 우주가 아니라면 목적론적 우주관인데 이것을 받아들이지 않는 가장 큰 문제는 이것에 대한 심리적 거부감 때문이다. 루이스는 이것을 [고의적 무지]라고 주장한다. 파스칼이 말하듯 인간은 열려있는 마음으로 신을 찾을때 그를 당연히 발견하고 놀라와하며 기뻐할 수 있는 이성을 지녔다. 그러나 인간은 고의로 그것을 찾고자하지 않는다. 그래서 항상 문제의 본질에는 주인이 되려는 인간의 의식이 존재한다. 인간은 자신이 만들지도 유지하지도 발전시키지도 않은 우주, 발전의 계획을 가질 수도 없는 우주를 자신의 소유로 선언하고자 한다. 그리고 깊은 고독과 우울과 무의미와 슬픔을 견디어내고자 한다.
 
루이스는 어거스틴이 말한 하나님만이 채우실 수 있는 인간 안의 빈곳을 기쁨이라는 표지판을 따라 찾아간다. 그리고 그 핵심에 이천년전 역사 속에 존재했던 창조자의 기록을 보며 전율한다. 그가 우리의 이런 주인되고자 하는 고집을 위해 인간이 되었고, 죽었고 다시 살았으며, 용서하고 사랑했다. 루이스는 이 일을 통해 새로운 우주를 발견한 인간이 되었다. 그가 겪은 고통과 불행은 프로이트와 같았으나 그가 다다른 길은 달랐다. 고통의 끝에서 한 사람은 절망을, 한사람은 사랑하는 하나님이 계신 세계를 보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