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우상 이데올로기
하웃즈 바르트 지음, 김재영 옮김 / IVP / 1990년 12월
평점 :
품절


오늘날 국가권력 획득의 방법인, 선거에서 승리의 공식은 의외로 단순해 보인다. 자신이 더 각 개인의 이익에 부합하는 인물인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더 잘 사는 나라를 만든다는 뜻은 나에게 돌아오는 혜택도 크다는 뜻이다. 당연히 번영을 약속하는 이미지가 표에는 절대유리하다. 발전이 아니면 다수를 차지하는 비 자본가 계층의 차별에 대한 느낌을 자극하여 그들에게 돌아가는 이익을 늘리는 분배정책을 약속하는 것도 돈 안드는 좋은 전략 중 하나임에 틀림없다. 누구나 자신에게 유리한 사람에게 표를 준다는건 당연한 일인지도 모른다.  
 
거기에다 민족 정서에 호소하는 일이 중요하다. 적들은 주위에 많다. 일본도 가능하고 중국도 좋다. 반일, 반중, 반미, 민족적 정서를 그 당시의 대중적 기류와 맞추어 자극한다면 일제강점기가 아니어도, 북한이 처내려오지 않아도 마음으로부터 표들은 가까이 온다. 부시도 번영과 반이슬람 정서로 재선에 성공했고, 고이즈미도 불황돌파와 반중국, 신일본제국 건설의 정서로 다시 정권을 재창출했다. 압도적이다. 이런 공식만 잘 파악하면 국민의 여론에 힘입은 권력장악은 무척 쉬워 보인다.
 
이 책은 보통사람 대부분에 공통분모로 존재하는 이 생각들이, 처음에는 정당했던 목표들의 변질과 이데올로기화에 의해 생긴 것임을 드러낸다. 왜 번영과 안보, 혁명과 민족의 대의들은 우리의 손을 벗어나 우리를 조정하기에 이르렀는가? 하웃즈바르트는 이데올로기의 배후에 우상숭배를 보여준다. 자신을 위해 세웠으나 그것에 의해 죽임 당하는 우상숭배자의 모습. 번영, 안보, 혁명, 민족. 이들 네 가지 이데올로기의 전세계를 몰아치는 소용돌이는 결국 인간을 결단낼 때까지 그칠 듯 싶어 보이지 않는다.  군비경쟁을 그친 것은 기적이고, 이라크 침공은 당연한 일이다. 
 
당연한 결론은 이들 우상에 의한 인류의 종말인 듯 보인다. 하지만 하웃즈바르트는 절망은 또 하나의 유혹이라고 규정한다. 새벽별과 같이 숨어있는 여명은 우리의 작은 순종을 통해 밝아올 것이라는 것이다. 그에게서 변증적 파국이 아닌 구원의 하나님에 대한 깊은 믿음을 본다. 인간에게는 희망 없음을 이야기하던, 절망적 몸짓으로서의 저항을 말하던 다른 사람들에게서는 들을 수 없는 이야기이다.
 
아직도 국민 다수는 줄기세포의 지속적 연구가 필요하고 황우석박사에게 기회를 주어야한다고 생각하고 있다고 한다. 연구에 있어 우위권을 지켜 최고 선두국가가 되어야하며, 또한 국익을 지켜 특히 미국이나 일본에게 빼앗기지 않겠다는 마음이 있기 때문이다. 옳음과 우리가 믿어오던, 그리고 우리 아이들에게 가르쳐 오던 기준들과는 다른 무엇인가에 우리 마음이 홀린 건 같다. 정직과 부끄러움이 이익과 민족감정과의 저울질에서 기울고 있는 일은 아무래도 이번 이 일로 끝날듯 싶진 않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