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의 기원
찰스 다윈 지음, 박영목 옮김 / 한길사 / 1994년 4월
평점 :
품절


이 책은 최근 새로 써진 [종의 기원]의 번역판으로, 다윈의 원문을 살리면서도 현대생물학적 관점에서 본 [종의 기원]의 오류와 현대생물학에 의해 증명된 점들에 대한 코멘트를 같이 실었다. 원문의 차례를 그대로 따르면서도 축약할 부분은 축약되어 있고, 새로운 증명자료나 오류에 대한 설명과 본문의 이해를 돕기 위한 그림과 사진이 풍부한 것이 이 책의 장점이다. 그래서, 원본보다 짧지만 도리어 책 전체의 흐름을 놓치지 않고 다윈의 원래 의도들과 그 가치를 충분히 보여주고 있다.
 
다윈은 모든 생물이 한 생명체에서 분지되어 환경에 적응하며 다양화되었다고 본다. 그리고 다양한 생명체들은 유전을 통해 일정한 성질을 지닌 종을 구성하게 된다. 수많은 조상종과 분지되어 나온 종들, 혹은 다른 속에 속한 생물들끼리도 환경 안에서 서로 경쟁하며 조금이라도 유리한 형질을 가진 종들은 생존하여 번영하고 작은 차이라도 이 경쟁에서 뒤쳐지기 시작하면 결국 멸절하게 된다. 실제로 조상종의 대부분이 멸절한 것은 후손종이 훨씬 특이한 형태로 환경에 유리한 기관이나 조직을 가지게 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생존을 위해...
 
현대생물학은 종 내부에서 적응에 따른 변화는 가능해도, 염색체 수가 다른 종으로의 변화는 설명이 힘들다는 의견이 여전히 많은 편이다. 생쥐의 조상이 사람으로까지 변하는 것은 유전적으로 설명이 어렵기 때문이다. 연금술에서 말하는 납으로 금을 만드는 원소의 변화만큼 염색체수의 변화는 가능성이 낮은 일이다. 하지만 당시 이런 종의 기원과 진화에 대한 포괄적 그림은 기존의 세계관을 위협하기에 충분했고, 이로 인해 점진적 개량과 진보에 의한 완성, 자연의 내재적 생명에너지에 대한 생각들이 그 이후 철학과 인간 사회의 가치에 영향을 주었음은 틀림없다. 인간은 진화의 와중에 나타난 생명체 중 유리한 두뇌시스템으로 인해 타종을 물리치고 지구의 지배자가 된 가장 최근의 발달된 동물의 하나로 인식되기 시작한 것이다.  
 
이것은 인간사회내에서도 삶살이의 방법을  결정한다. 진정한 생존의 법칙은 더욱 강하고 경쟁자를 따돌릴 수 있는 도구를 사용할 수 있는 최적자만이 번성해 갈 수 있다는 뜻이다. 무기이든 사회시스템이든, 한정된 자원의 독점자만이 미래에 존재하며, 약자에게 미래는 없다. 이것은 분명 우리 사회의 진실의 일면을 보여준다. 하지만 이 책에서 유추되는 인간의 존재의 의미, 그리고 삶의 방법은 선뜻 받아들이기에는 생물학의 더 많은 검증을 요구하고픈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