쥐 I
아트 슈피겔만 지음, 권희종 외 옮김 / 아름드리미디어 / 1994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친구들에게 따돌림 당하고 돌아온 아들에게 내뱉는, 유대인 수용소에서 살아남은 아버지의 냉소적 한마디로 이 책은 시작된다.

[친구? 그애들을 방 안에다 먹을 것도 없이 일주일만 가둬놓으면…그땐 친구라는 게 뭔지 알게 될 거다.]

분명 이 책은 작가의 아버지에 대한 회고이다. 작가의 에너지는 온통 그의 고집불통 아버지, 그 이해할 수 없는 삶에 대한 태도와 자기를 화해시키려는데 몰려있다. 이 점에서 만화이면서도 이 책이 갖는 독특하고 뛰어난 작품으로서의 가치가 있다. 언젠가 생겼던 사실로서의 과거가 아닌, 현재 자신의 삶과 끊임없이 접촉하고 충돌하는 각 개인 안에 살아있는 경험으로서의 역사와 그 의미들이다.

이해하기 힘든... 물건을 버리지 못하는 습관, 구두쇠스러움, 아껴쓰는 것만이 살아남는 방법이라는 강박증, 타민족 심지어는 동족에 대해서까지 갖는 지독한 불신...죽이려드는 적들과, 서로 살아남고자하는 동족 가운데서 생긴 그의 아버지의 아픔은 과거의 고통에서 온 태도이다. 이 세상에 믿을 것은 자기자신과 친구 밖에는 없다. 살아남아야 가족을 다시 볼 수 있다. 살아남기 위해 필요한 것은 집요한 삶의 끈들과 운 밖에는 없다. 이것이 그의 아버지를 주위에서 찾아보기 어려운 괴상한 성격의 소유자로 만들었음을 작가는 차차 알아간다. 사랑과 가족, 낭만과 동정의 한 인간은 믿음과 배신을 오가는 생존의 갈림길에서 살아남고자 자기를 잃어버리고 말았다.

작가는 생존을 위해 몸부림치는 유대인을 쥐로 그린다. 쥐는 나치스가 표상한 유대인의 모습이다. 이걸 그대로 작가는 유대인의 모습에 사용한다. 그러나 유대인이 아닌 나머지도 사람은 아니다. 독일인은 고양이, 폴란드인은 돼지, 또 다른 인종도 모두 동물로 표현된다. 인간은 없다. 아니 유대인이 쥐라면 나머지 이 쥐를 잡는데 관여한 혹은 지켜본 모든 인류도 인간이기는 어렵다. 아니 인간이 인간임을 잊었기에 이런 일이 생겼는지도 모른다. 인간이 동료인간을 대상이나 수단으로 본다면 이 파국은 결국 자신의 집단에 방해되는 쓰레기를 치워버리는 일이다. 그래서 이 모든 인간의 상실을 막지 못한 인류는 모두 종류는 달라도 짐승들이다. 그렇다. 육체를 살찌우고 편안한 것을 찾으며 약자를 힘으로 정복하는 것은 인간이 아니어도 할 수 있는 일들이다. 이것만 하고 살다 죽는다면 인간이 아직 되지 못한 것이다. 옆의 인간을 인간으로 보지 못하는 자도 인간은 아닌 셈이다.

이 뼈저린 삶의 진실은 서로에 대한 적의와 자기에 대한 과잉보호로 삶에 뿌리 박힌다. 작가의 아버지가 그랬고, 또 옆나라 사람에게 고통 당하고 동족과 전쟁을 치르며, 옆집사람보다 한 발이라도 앞서야 배급을 타먹을 수 있었던 우리 부모와 조부모들이 그러했다. 극단적 굶주림과 절박한 생존의 아픔은 그래서 이 책 안에서 걸어나와 우리의 부모님 안에 여전히 숨쉬고 있는 고통스런 기억들이다. 그분들을 이해해간다.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그런 것도 있지만, 전쟁만 아니었으면 가장 완성된 [인간]이고 싶었던 그분들의 안타까운 속마음을 알아가기 때문이기도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