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Q정전.광인일기 문예출판사 세계문학 (문예 세계문학선) 15
루쉰 지음, 정석원 옮김 / 문예출판사 / 2006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중국의 아Q는 그들 모두를 함축한다. 우리의 응삼이인 셈이다. 아(阿)는 친근감을 주기 위한 접두어이고, Q는 청나라말 중국인들의 변발한 머리 모습을 상징적으로 표현한 말이란다. 그는 어떤 누가 아니고 대표인물인 셈이다. 루쉰 당시의 중국인 모두이다. 루쉰은 [나는 아Q 본인은 아니다]라고 책 서두에 밝히고 있지만, 누가 아Q라고 했나. 그는 서둘러 나는 아니라고 한다. 입가를 훔치며 내가 먹은 것 아니라고 말하는 아이처럼...자신안의 아Q를 그도 넌즈시 비치는 것은 아닌지... 비열하고 천박하며 상스럽고 믿을 수 없는 주인공은  중국인의 한 모습이고, 중국인인 이상 루쉰 자신이기도 하다.

아Q는 이야기 내내 공공연한 멸시와 비웃음의 대상이다. 당연히 독자에게도 이런 감정을 일으키려 작가는 노력한다. 유대인들은 염소에게 모든 죄를 전가시키고, 들짐승들이 기다리는 허허벌판으로 내보내는 것을 scapegoat(희생양)이라 불렀다. 그들이 모두 내면에 가지고 있는 악, 그 어둠을 상징하는 짐승인 이 염소, 그 머리에 손을 얹고 죄를 전가한다. 빈들로 울음소리를 내며 사라지는 이 짐승을 통해 그들은 자신의  악을 보상한다. 이런 의미에서는 아큐는 루쉰이 설정한 중국인의 스케이프고트이다. 그들이 싫어하고 죽이고 싶은 중국인 자신이다. 루쉰은 이것을 벗고싶다. 제발 내 겨레에게서 이런 모습이 사라지길 원한다. 

아큐는 결국 중국인 스스로 돌아보는 자기의 아픈 구석이다. 이 글을 읽고 우리가 중국인의 성격이, 민족성이 어쩌고 말할 수 없는 까닭은, 루쉰의 이 글을 쓰던 심정이 느껴지기 때문이다. 그는 아픔으로 자기와 중국인의 치부를 보여준다. 사랑하는 겨레의 부끄러운 모습. 내 민족을 향한 그의 사랑과  안타까움이 나로 감히 중국인을 폄하케 하지 못한다. 드러내 보이고 고치길 원하는 한 사람이 있는 한 그들은 나아질 수 있다. 신해혁명의 와중에 보여준 그들 자신의 천박함과 잔인성. 다른사람들이 혁명을 두려워하는 꼴을 보고 혁명의 동조자가 되거나, 그 혁명군에게 중요한 인물인양 처형당하는 걸 자기 존재가치를 증명하는 방법으로 여기는 아Q들. 루쉰은 그들의 모습을 비웃는 지성인으로 머물러 있던 사람이 아니라 가슴저리게 자기 안에서 그 모습을 끄집어내는 사람이었다. 

내 속의 한국적 아Q. 서두르고 앞지르며 무례함을 개의치 않는 것. 쉽게 화내며 욕이 근질거리기 시작하는 것. 같은 편이 아니면 잔인해지는 습성들. 끈이 닿으면 관대해지는 비열함. 그까이껏 대충 하는 것. 손에 검정 묻히며 일하는데 익숙해져 가는 것. 원래 그런 사람들은 아니었다.  우리 속 안에는 아름답고 쾌활하며 다정한 사람들이 있는데... 하지만 이제는 거리에 나서면 거친 우리 자신을 발견하는건 당연한 일이 되어간다. 가슴 저림을 느끼며 바뀌어 갈 수 있을까? 언젠가 수치스럽지 않은 내가 되도록...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7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