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과 초인 현대영미드라마학회 영한대역 22
조지 버나드 쇼 지음, 허종 옮김 / 동인(이성모) / 2003년 1월
평점 :
품절


버나드 쇼는 그의 생명력life force와 초인superman에 대한 사상을 희곡으로 표현한 작가이다. 그는 예술을 위한 예술이 아닌 사회 개혁을 위한 극작품을 썼다. 그에게는 [극작품의 질은 그 속에 담긴 사상의 질이다.]라는 말이 어울리는 작가인 셈이다.

그가 그리는 초인은 인간의 모든 욕망과 제한을 벗어버린 개인을 의미한다. 또한 헤겔적으로 표현한다면 세계사적 개인들인 셈이다. 기존의 질서를 부인하며 의지와 열정으로 자신을 희생하며 역사의 발전을 위해 자신의 삶의 방향을 맞추는 사람들...버나드 쇼는 이 작품에서 특별히 개인의 성적 영역, 특히 결혼이라는 구조에 초점을 맞추어 초인으로서 부정의 자세를 보여준다.

과연 관습적 남녀 구속의 틀인 결혼은 그 자연의 생명력의 힘에 비추어 어떤 의미를 지니는가? 남자를 사냥하여 자손번식의 희생물로 삼고자하는 여성의 본능과 로맨스와 사회의 관습, 육체의 본능에 따라 이를 위해 사냥감이 되는 남자에 대한 조롱으로 이 극은 일관한다. 결국 끝까지 저항하던 터너 또한 이 힘 앞에 굴복하고 앤과의 결혼에 동의하고 만다. 그러나 이제 결혼의 낭만적 의미란 사라지며 이들에겐 [본능에 충실한 서로간의 합의]만이 남는다. 쇼는 이 낡은 제도의 개편에 대한 反인 터너를 뛰어넘는 힘force이 앤 안에 표출 되어짐을 보인다. 새로운 변증법적 신여성인류의 사고방식이다.

버나드 쇼를 통해 19세기말과 20세기 초 모든 사회 구조의 의미와 틀을 새롭게 짜고자하는 신인류의 의지와 만나게 된다. 이런 인간의 유형을 그는 니체의 초인superman과 헤겔의 영웅heroic human의 결합으로 보여준다. 그리고  충실히 이를 그의 인물들의 대사를 통해 지끈거리는 철학의 논조가 아닌, 사실적 현실의 언어로 뱉아 놓는다. 철학이 소화된 여물의 형태로 오락거리의 수단이었던 연극에 뛰어들어온다. 이제 연극은이 철학적 프로파간다로 훌륭히 거듭나는 셈이다. 사람들의 기존관념을 비웃고 어리둥절하게 하며 결국 동의와 대안에 대한 긍정까지를 요구한다. 그 해답은 이 극에선 기존질서인 램스덴이나, 사회적 순응자인 옥타비우스도, 그 반대자인 터너나 사회부적응자인  멘도사에게도 없다. 승리는 생명력의 초인 앤에게 있었다. [포스가 강력한 자가 최후에 승리한다](요다)

결국 초인들이 만드는 사회의 꿈은 천국과 지옥의 재편이다. (3막) 이성의 편(초인)으로 투쟁해 갈 것인가? 아니면 관습의 편(인간)으로 편히 살 것인가? 끊임없는 기존사회에 대한 야유와 뒤집기는 삶에 대한 삐딱히 보기를 넘어 이제 우리시대에는 하나의 인간 삶의 형태로 자리잡았다. 이들 탈도덕, 탈관습적 부류가 과연 새로운 인류homo supermanicus인지 혹 스스로의 궤변에 함몰되어 퇴행되어버린 Regressian인지는 아직 말하기 어렵지만 이 희곡은 분명 그 생각들을 가장 잘 표출하고 있음에는 틀림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